2ㆍ20 부동산 정책에 수원, 안양 등 조정대상지역 오름세 ‘주춤’… 실거주 아파트 못사는 부작용도 발생

정부가 ‘2ㆍ20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지 2주가 지난 가운데 수원과 안양 등 신규 조정대상지역의 아파트 값 오름세가 둔화하는 등 일부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강화된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따라 실거주 목적으로 집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주택 거래를 포기하는 사례도 발생, 실거주자를 위한 정책 보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5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수원과 안양, 의왕 등의 집값은 2ㆍ20 대책 발표 전보다 상승세가 둔화한 상태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0일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면서 수원 권선구ㆍ영통구ㆍ장안구, 안양 만안구, 의왕 등 5곳을 신규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하고,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를 강화했다.

실제로 수원 영통구의 A 아파트(전용면적 100㎡ 기준 6억 5천여만 원)는 지난 1년 새 실거래가가 1억 원 이상 오르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지만, 2ㆍ20 대책 발표 이후 집값 상승이 멈췄다. 또 아파트 매물이 나와도 실제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등 시장 분위기도 크게 위축됐다.

안양 만안구의 B 아파트(전용면적 108㎡ 기준 5억 8천여만 원)와 의왕 C 아파트(전용면적 84㎡ 기준 11억 9천여만 원) 역시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매물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현재 거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들 아파트 역시 지난 1년 동안 아파트 값이 크게 올랐지만, 현재는 다소 둔화한 모습이다.

B 아파트 인근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2ㆍ20 대책 발표 이후 부동산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며 “현재 나오는 매물이 전혀 없으며, 모든 거래가 사실상 중단됐다”고 말했다.

이처럼 2ㆍ20 부동산 대책의 표적이 된 지역에서 집값 상승 둔화 등 효과가 나타난 가운데 일각에서는 과도한 규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일고 있다. 1주택자나 무주택자에게도 동일한 대출 규제가 적용되면서 실거주자가 집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원과 안양 등의 은행에서는 지난 2주간 주택담보대출 외에 다른 방법의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문의 전화가 폭증했다. NH농협은행 관계자는 “LTV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실거주자들의 대출 관련 문의가 크게 늘었다”며 “다만, 현재는 모든 주택관련 대출이 어려워서 아예 주택 거래를 포기하는 경우도 속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정부가 1주택자나 무주택자의 대출까지 과하게 규제해 발생하는 현상”이라며 “실거주자의 대출 규제를 완화하고 아파트 공급량을 늘리면서 수급 조절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태희ㆍ손원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