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생활을 지원하고 행정시책을 알리는 수원시의 반장제도가 존폐 기로에 서게 됐다. 반장 정원의 76%가 결원인데다 일부 동에서 반장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월부터 관내 통장과 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반장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를 벌이고 있다. 각 동 통장협의회 회의를 활용해 서면으로 의견을 듣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현재 반장제도 운영실태를 확인하고, 이 제도의 지속 여부에 대한 의견을 묻고자 이뤄졌다.
수원시 통ㆍ반 설치 조례에 따라 시는 행정시책의 원활한 추진과 동 행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동에 통을 두고, 통에는 반을 둘 수 있게 규정했다. 현재 반장 정원(지난해 11월 기준)은 7천241명이며, 이 가운데 결원은 5천549명이다. 반장 10석 가운데 7석이 빈자리인 셈이다.
구별로 살펴보면 장안구의 결원은 1천276명(정원 1천834명), 권선구 1천655명(정원 1천834명), 팔달구 1천202명(정원 1천609명), 영통구 1천416명(정원 1천602명)으로 나타났다. 이중 전체 결원이 가장 많은 구는 전체 결원율 88%인 영통구로 꼽혔다. 나머지 3개 구도 마찬가지로 약 70%에 달하는 결원율을 보였다.
익명을 요구한 한 행정복지센터 관계자는 “반장이 해야 할 일이 많지 않아 일부러 반장을 뽑지 않는 동이 많다”며 “실질적으로 통장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반장 제도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분위기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시는 반장 정원 가운데 결원이 많은 현 상황에 대한 공론화를 거쳐 반장의 역할과 지속 여부 등에 대해 검토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 설문조사를 마치지 못한 일부 구가 있다”며 “조사 결과에 따라 반장제도의 개선 방안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민훈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