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조한 출산·혼인율 원인, 청년인구 감소... 경제 악영향
440만 명 규모의 경기도 청년이 향후 30년 내 270만 명까지 급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도내 경제활동인구의 약 40%를 차지하는 청년들이 큰 폭으로 줄어드는 만큼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청년통계’를 작성했다. 이번 보고서는 교육ㆍ고용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청년(15~39세)의 삶을 다각적으로 분석, 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청 내부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인 만큼 청년기본법에서 규정하는 청년(19~34세)과는 기준이 다르며, 2018년 통계를 기반으로 1979~2003년 출생자를 9개 분야(인구, 경제, 복지, 건강 등)에 걸쳐 조사했다.
인구 분야에서는 청년 인구가 2018년 450만 4천 명에서 올해 446만 1천 명을 넘어 2047년 277만 9천 명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30년 만에 61% 수준으로 청년이 사라지는 셈이다. 경기도 전체 인구가 올해 1천340만 5천 명에서 2047년 1천398만 8천 명으로 소폭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유독 청년 인구만 줄었다.
매년 7만8천여 명의 청년이 경기도로 순 이동(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 감산)하지만 급락하는 출산율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기도 출산율(인구 1천 명당 출산)은 2014년 34.3명에서 2018년 27.1명으로 낮아졌다. 청년 인구의 혼인율 역시 2014년(남 28.7%, 여 26.9%)보다 2018년(남 25.3%, 여 23.1%) 하락한 만큼 향후 출산율 반등은 더 어려울 전망이다.
이 같은 청년 인구 감소는 도내 경제 악영향으로 이어진다. 도내 경제활동인구 710만 9천 명 중에서 청년이 37.9%(269만 9천 명)나 차지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기본적인 경제력 규모도 상당하다. 경기도 전체 토지 소유자의 토지 292만 8천 필지 중에서 청년 소유가 15만 3천 필지다. 경기도 전체 사업 등록자(230만 명)에서 청년 비중도 17.3%(39만8천 명)다.
도 관계자는 “고령 인구의 사망이 줄어들고, 저조한 출산율ㆍ혼인율로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서 머지않아 성인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할 수도 있다”며 “이번 보고서를 바탕으로 관련 인구 정책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 건강 분야를 보면 청년들은 만성질환 중에서 정신행동장애(27%), 신경계질환(21%)을 집중 진료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 중에서는 갑상선암 진료가 65%로 압도적 비중을 보였다. 환경 질환에서는 알레르기 비염으로 한해 58만 명(누적 포함)이 병원을 찾았으며, 치매 진료를 위해서도 55명이 의료기관을 방문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