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가 ‘종교집회 금지 긴급명령’이란 화두를 던졌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초강수 구상이다. 그가 페이스북에 밝힌 글의 제목은 ‘종교집회 전면금지 긴급 명령 검토…의견을 구합니다’다. 제목이 전하는 의미는 ‘긴급명령 시행’이 아니다. 긴급명령 필요성에 대한 고민의 ‘의견을 듣겠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파장이 크다. 그만큼 그의 제언이 강력하고 생소하고, 종교계에 미칠 영향 또한 만만치 않다.
‘실내 공간에서 2미터 이내 밀접 접촉’은 방역 당국이 밝히는 코로나19 전파의 전형적인 경로다. 각종 종교 행사는 이 기준을 적용할 때 감염 위험이 가장 극대화되는 단체 행위다. 이 점에 대한 이견은 없다. 전체 교회의 40% 이상이 오프라인 예배(예배당 집합 예배)를 중단하고 있다. 이에 충분히 동의하고 있어서다. 그럼에도 절반의 교회가 아직도 기존의 집합 예배를 이어가고 있다. 그래서 나온 주장일 것이라 본다.
종교 행사 중단은 단순히 신앙 차원으로만 접근할 일이 아니다. 파고들어가면 그 속에 교회 등 종교단체 운영과 관련된 현실적 고충이 있다. 종교의 특성상 헌금 등의 수입은 일요일 대(大)집회를 통해 형성된다. 재적 교인 1만명에 달하는 교회의 경우 일요일 헌금이 5천만~1억원에 달한다. 한 달에 4~5회 찾아오는 일요일 집회가 전부다. 종교 집회 자제에 동참하는 교회들은 지금 이런 손해를 참아 내고 있는 것이다.
사실, 종교 행사 자제가 얼마나 이어질지 장담할 수도 없다. 이 지사의 기대와는 반대로, 예배 재개가 점차 늘어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긴급 명령을 통한 강제 조치는 상황을 엉뚱하게 몰고 갈 수 있다. 만일, 삼겹살집에 손님이 많아 위험하다며 삼겹살집 영업을 금지시키면 어찌 되겠는가. 신성한 종교의식에 세속적 셈법을 비견한다고 뭐라 할 것만도 아니다. 이게 현실이고, 종교계가 지금 이 현실에 고통받고 있다.
진중권 전 교수가 이 지사의 주장을 힐난했다. “포퓰리즘도 적당히 좀 하라”고 했고, ‘정치를 하지 말고 방역을 하라’고도 했다. 우리는 진 전 교수의 접근 방식에 동의하지 않는다. 행정의 기본은 다수의 목소리를 쫓는 것이고, 그 행정의 수장은 선출된 정치인이다. 코로나19와 관련된 국가 또는 지방정부의 상당 부분이 포퓰리즘 또는 정치적 행위다. 무작정 그르다고 하면 안 된다. 해볼 가치가 있으면 시도하는 게 맞다.
다만, 현실성과 실효성을 냉철히 따져봐야 한다는 게 우리 주장이다. 코로나19가 ‘꺾이기 시작했다’는 의견이 속속 나오고 있다. 종교계 스스로는 ‘할 만큼 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다. 이런 때 강제로 예배당의 철문을 내리는 조치가 과연 정당할까. 다행히 페이스북 제목은 ‘…의견을 구한다’였다. 실제로 긴급 명령을 발동하는 상황은 없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