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 급수탑’,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등록 예고

사진)1975년 1월 도로포장 후 수원역 급수탑 모습(위)과 현재모습. 수원시 제공
1975년 1월 도로포장 후 수원역 급수탑 모습(위)과 현재모습. 수원시 제공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에 있는 ‘수원역 급수탑’ 2기가 9일 문화재청의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됐다.

이번에 등록 예고된 수원역 급수탑(세류동 284-5번지)은 높이 18.1m의 콘크리트조(造) 1기와 높이 7.9m의 붉은 벽돌조(造) 1기다.

벽돌조 급수탑은 국내에서 유일한 ‘협궤선 증기기관차용 급수탑’이었다.

철도역사 급수탑은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는 시설물인데, 1960~70년대 증기기관차 운행이 종료되면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앞서 2003~2005년에는 연천 급수탑 등 전국 급수탑 10기가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 바 있다.

수원시는 지난해 3월 한국철도공사와 함께 문화재청에 수원역 급수탑의 등록문화재 등록을 신청했다.

문화재청은 “1930년대 국철(國鐵)인 광궤철도의 급수탑과 사철(私鐵)인 협궤철도의 급수탑 2기가 동일한 부지에 현존하는 희귀한 사례”라며 “국철과 사철의 급수탑 변화 양상과 변천사를 보여주는 철도유산으로 가치가 높다”고 등록 예고 사유를 밝혔다.

수원역 급수탑은 등록 예고(30일 간)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이 확정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경기남부에 현존하는 유일한 급수탑인 수원역 급수탑이 국가등록문화재로 보존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낡은 콘크리트조 급수탑이 부식돼 그물망으로 보호하고 있는데 등록문화재 지정 후 한국철도공사와 문화재청과 함께 정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재 수원시에는 수원 구 부국원(제698호) 등 국가등록문화재 6개가 있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