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 체계적으로 지원해야”

인천지역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장애예술인의 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0일 인천시와 인천연구원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7년 이들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장애예술인 활동을 위해 ‘인천시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조례’를 만든 이후 2018년부터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연구원은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2018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등을 토대로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장애예술인 활동 기회 등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또 인천의 장애인 문화예술단체 관계자와 활동가를 대상으로 정책 수요조사를 한 결과에서는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장애예술인의 창작을 위해 전문(보조)인력 지원, 장애인 문화시설 확충, 장애인 예술활동가 지원사업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천연구원은 ‘누구나 누리는 문화예술, 더불어 행복한 인천’이라는 기본방향을 정하고 장애인 문화예술 참여 및 향유 증진, 장애예술인 창작 활성화 및 활동 지원, 장애인과 비장애인 문화예술 교류·협력 활성화 등 3대 목표와 4대 추진전략, 16개 중점 추진과제를 제안했다.

최영화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아직 장애인의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은 미비하다”고 했다. 이어 “장애인과 장애예술인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해 실태조사를 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편, 지난 2019년 10월 말 기준으로 인천의 장애인 인구는 14만4천31명으로, 전체의 4.9%를 차지한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