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7곳, 해외 입국제한 수출 악영향… “6개월 이상 못 버텨”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우리나라에 취해진 세계 각국의 입국 제한 조치가 수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80%는 입국 제한이 6개월 이상 지속하면 기업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은 1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확산 및 입국제한 관련 수출 중소기업 영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수출기업 312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기업 70.8%가 입국 제한 조치로 수출이 악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국가별로는 일본에 대한 수출영향(81.8%)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78.2%), 베트남(71.9%), 미국(63.8%)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입국 제한에 따른 피해 양상(복수응답)에는 ‘해외 전시회 취소로 인한 수주기회 축소’(73.8%)와 ‘해당 국가 내 영업활동 제한’(62%)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부품과 원자재 수급 애로에 따른 계약 취소’(18.6%), ‘한국산 제품의 이미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15.4%) 등이 뒤를 이었다.

예상 피해액에 대해선 중소기업의 40.1%가 작년대비 수출액이 10~30%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10%미만’(34.9%), ‘30~50%’(15.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입국 제한이 지속할 때 감내할 수 있는 기간으로는 1~3개월(35.9%), 3~6개월(34.3%), 6개월~1년(10.3%), 1개월 이내(9.9%), 1년 이상(9.6%) 순으로, 입국 제한이 6개월 이상 지속할 경우 중소기업 80%가 버티기 힘든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 중소기업의 경영애로 극복을 위한 정부 중점 과제(복수응답)로는 ‘수출 피해 기업 우대 금융 지원’(42.9%)과 ‘관세 납부유예 등 조세 혜택’(37.8%) 등으로 조사됐다.

김기문 회장은 “코로나19 확산 및 입국제한 등 교역환경이 악화돼 수출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에서는 모든 외교적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