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이 정세균 국무총리에게 중앙정부 차원의 콜센터 관리지침 마련 등을 강력히 건의했다. 최근 서울 콜센터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정부의 역할에 대한 항의성이다.
박 시장은 12일 정 총리 주재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에서 “콜센터 및 집합교육 업종은 업체 간 경쟁으로 열악한 업무환경인 경우가 많다”며 “운영 및 시설개선에 대해 각각 업체에 권고하기 보다는 금융감독원, 산업통상자원부 등 소관부처 차원에서 관련 협회들에 일괄지침을 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앙정부가 실태 파악 및 복무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지방정부는 그것을 점검하는 체제로 가야한다”고 제안했다. 또 콜센터 입주 건물 전체의 직원·입주자 전수 조사 및 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 자리에서 “업종별로 소관부처에서 관리하는 것에 대해 공감한다”며 “또 이를 취합하는 부서까지 마련하는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 같은 제안을 지지했다.
박 시장은 또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콜센터가 있는 건물에서 있는 근무자 중 인천시민 명단 전체를 요구했다. 당초 서울시는 해당 콜센터 건물의 7~9층, 11층에서 근무 중인 87명의 명단을 인천시와 공유했지만 이 명단에서 빠져있는 시민 중 추가 확진자 A씨(34·남동구)가 나왔기 때문이다.
한편, 이 날 인천에서는 A씨를 포함해 서울 콜센터 건물 근무자 2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인천의 확진자는 모두 27명이다.
A씨는 콜센터 건물 10층에 있는 상조회사에서 근무했다. 부평구 주민 B씨(27·여)는 9층 근무자로 콜센터 직원의 접촉자다. 하지만 B씨는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라 당초 서울시가 공유한 명단에는 빠져있었다. 특히 이들은 1호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해 지역 사회 감염 가능성도 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