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봉투 금지에 도난 속출… 일부는 고물상 팔려가
자발적 반납 유도에도 효과 無… 업계선 법적대응 고려
“3개월동안 사라진 장바구니가 1천여 개에 달합니다. 피해액이 너무 커 법적 대응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수원의 A 마트는 최근 매장에서 카트, 장바구니 도난 사건이 발생하면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지난 3개월동안 이 마트에서 사라진 장바구니와 카트는 각각 1천여 개와 50개로, 도난 피해액은 1천만 원에 이른다.
A 마트 측은 매장 내 CCTV를 늘리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CCTV가 늘어나더라도 카트나 장바구니를 매일 검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A 마트 관계자는 “장바구니와 카트 도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증금을 올리는 등 손님들의 자발적 반납을 유도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다”며 “반복되는 문제로 직원들 역시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답답해했다.
최근 이처럼 도내 중소형 마트에서 카트, 장바구니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도내 마트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들 마트들은 CCTV를 늘리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해결이 쉽지 않아 법적대응까지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12일 마트업계에 따르면 현재 수원과 용인 등의 중소형 마트에서는 손님들의 편의를 위해 비치된 카트와 장바구니가 도난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4월부터 도입된 자원재활용법 시행규칙에 따라 1회용 봉투를 지급할 수가 없도록 관련 규정이 바뀐 이후 개인용 장바구니를 지참하지 못한 손님들이 카트를 통째로 들고가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또 일부 도난된 마트 카트들은 지역의 고물상들에 의해 팔려나가는 경우도 벌어지면서 업계의 고충은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마트에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안내문구를 붙이는 등 자체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쉽게 근절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용인 B마트의 경우 캠페인 활동을 벌이고 주차장에 감시 직원을 별도로 배치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보지 못한 상황이다.
용인 B 마트 관계자는 “문제 개선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써봤지만 효과가 없었다”며 “최근에도 손님이 종량제 봉투가 비싸다는 이유로 바구니째 들고가 그대로 가버렸다”고 푸념했다. 이어 “장바구니와 달리 카트는 한 개당 가격이 18만 원에 달해 피해가 더 크다”면서 “이 문제와 관련해 법적대응까지 고려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손원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