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수면, 비타민D 생성화 활성화 위한 '햇빛쬐기' 중요

▲ 아주대병원 박도양, 순천향대 부천병원 최지호 교수

수면장애로 고생하는 현대인이 늘고 있다. 일상에서 건강한 수면을 취하려면 비타민D와 햇빛 쬐기가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15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박도양ㆍ순천향대병원 최지호 교수팀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햇빛 노출시간 ▲비타민D 상태 ▲수면시간 3가지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 자료 2만5천534명을 대상으로, 햇빛을 하루 2시간 미만 쐬는 군과 2시간 이상 쐬는 군으로 나눠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햇빛을 충분히 쐬지 않는 사람이 체내 비타민D 수치까지 낮으면 잠을 과도하게 자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다수면은 만성 대사질환과 관련이 있어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상 범위의 수면은 대략 6~8시간이다.

하루 2시간 이상 햇빛을 쐬는 군은, 체내 비타민D 수치가 수면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하루 2시간 미만으로 햇빛을 쐬는 군에서는 체내 비타민D 수치가 낮을수록 평균 수면시간인 6~8시간보다 적게는 2시간, 많게는 4시간 이상 더 많이 수면을 취했다. 햇빛 노출이 충분하면 체내 비타민D 수치가 수면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햇빛 노출이 적었을 때 비타민D 수치가 낮을수록 과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타민D가 우리 몸의 생체 시계로 알려진 24시간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과 생체 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박도양 교수는 “건강한 수면뿐 아니라 우리 몸의 다양한 기능을 돕는 비타민D의 생성과 활성화를 돕도록 햇빛을 충분히 쐬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만일 햇빛을 충분히 쐬기 어렵다면 건강한 수면을 위해 우리 몸에 정상적인 비타민D 상태를 유지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3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수면시간과 햇빛노출, 세럼 25-하이드록시비타민D 간의 연관성 연구-단면조사연구(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Sun Exposure,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A Cross-sectional Study)’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