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유럽발 코로나19 환자가 처음으로 발생했다.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중국 중심의 해외 유입 환자 방역을 전 세계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 해양수산부를 방문한 확진자가 인천에서 나오며 인천 공직사회도 비상이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14일 체코를 방문한 후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A씨(29·여)가 검역 과정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A씨는 경기도 광명시 주민으로 현재 인하대병원에서 격리 치료 중이다. 다행히 A씨는 검역 과정에서 증상을 확인, 검역소 내 시설로 옮겨졌기 때문에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A씨의 확진 판정은 코로나19의 역유입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선제적인 대응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동안 중앙정부와 시가 중국 우한시나 동남아시아 등 코로나19가 급증한 지역 방문자에 초점을 맞춘 것을 유렵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인천 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등을 중심으로 외국인 비상 연락망 유지 및 호텔 등 외국인 방문이 잦은 곳에 대한 방역도 필요하다.
고광필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서울과 경기도는 이미 유럽 등에서 코로나19가 다시 유입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 같은 사례에 대해 검역 및 방역 과정에서 중앙정부와 시가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현재 중앙정부는 유럽발 입국자 중 발열증상이 다수 나타나자 입국관리 지역을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해수부와의 직접적인 업무 관계가 있는 부서 등 인천 공직 사회도 비상이다. 최근 회의차 해수부를 방문한 극지연구소 직원 B씨(46)가 확진 판정을 받은 탓이다. 남동구에 사는 B씨는 지난 5일 세종시 해수부를 방문했으며 지난 9일부터 목간지러움 등 증상이 나타났다. 미열과 복통으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았지만, 최근 해수부에서 코로나19 집단 발생이 나오자 14일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검사를 받았다. 다행히 B씨의 밀접접촉자 8명은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시의 모든 공무원들이 긴장하고 있다. 해수부가 있는 세종시에 중앙부처가 몰려있는 탓에 상당수 부서가 업무 협의차 세종 출장이 자주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우리부서는 지난 2월 해수부를 방문할 일이 있었지만 모두 취소했지만 각 부서마다 중앙정부 방문 여부는 전부 달라 아무래도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인천의 확진자 수는 주말사이 3명이 늘어 31명이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