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PAV(개인자율항공기) 산업 활성화가 시험 모델을 띄워 볼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15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9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PAV 핵심부품 기술개발사업에 선정, 2021년까지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시는 단순 핵심부품 기술개발에서 그치지 않고 지난 2019년 3월 PAV 디자인을 확정해 완성품 제작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시가 3월까지 테스트벤치를 조성한다는 계획이 차질을 빚으며 시 자체적인 완성품 제작도 난항을 겪고 있다. 테스트벤치는 시험 모델을 직접 날려 성능을 테스트하는 장소로 PAV 개발의 핵심으로 꼽힌다. 테스트벤치의 예상 규모는 가로·세로 길이가 각각 20m이고 높이는 5m다.
당초 시는 내부적으로 남동국가산업단지 내 테스트벤치 조성을 검토했다. 하지만 시는 남동산단 여건상 실외 비행이 어려워 산단 내 테스트벤치 조성은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시는 경제자유구역 내 부지에 테스트벤치 조성을 검토 중이지만 이 방안도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의 협의가 관건이다.
시는 1차 검토에서 영종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는 테스트벤치 조성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영종국제도시는 인천 공항이 있어 비행기 이·착륙이 이뤄지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드론 등의 비행도 엄격한 기준을 통해 제한하고 있다. 또 청라국제도시는 이미 조성 중인 드론 시험비행장의 문제가 있다. 드론과 PAV의 무선 전파가 각각 오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나대지에 테스트벤치를 조성하는 방안을 인천경제청에 제안했다. 하지만 인천경제청은 지난 2월 시와의 회의에서 부정적 입장을 표한 것으로 알려진다.
시 관계자는 “테스트벤치를 만들 장소를 찾아야 하는데 어려가지 여건 상 마땅한 곳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며 “앞으로 인천경제청과 적극적으로 만나 합의점을 찾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