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세탁 후에도 성능 유지되는 마스크 필터 개발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20번 이상 빨아도 성능 유지되는 마스크 필터 개발했다. 연합뉴스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20번 이상 빨아도 성능 유지되는 마스크 필터 개발했다. 연합뉴스

국내 연구진이 세탁 후에도 성능이 유지되는 마스크 필터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6일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나노섬유를 십자 모양처럼 직각으로 교차하거나 일렬로 정렬시키는 ‘절연 블록 전기 방사법’으로 세탁 후에도 필터 효율이 유지되는 나노섬유 필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만든 필터는 미세한 나노섬유를 직각 교차시키거나 일렬로 촘촘하게 정렬해 만든 것으로 기공 크기가 작고 동일하다. 이 덕분에 기존 필터보다 얇은 두께로 같은 차단 효율을 낼 수 있다.

기존 멜트블로운 필터는 섬유 표면에 형성된 정전기가 수분에 닿으면 사라져 마스크를 착용한 지 일정 시간이 흐르거나 세탁하면 필터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연구팀이 만든 필터는 미세한 나노섬유를 직각 교차시키거나 일렬로 촘촘하게 정렬해 만든 것으로, 기공 크기가 작고 동일하다. 에탄올이나 비누로 여러 차례 빨아도 입자 차단 성능이 유지됐다.

연구팀이 필터를 비누로 20번 이상 손세탁하고 에탄올에 3시간 이상 담가놨는데도 필터 구조가 변하지 않고 초기 성능 대비 94% 수준의 성능이 유지됐다. 4천 번 이상 반복적으로 굽혀도 KF80 이상의 차단 효과가 있었다.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20번 이상 빨아도 성능 유지되는 마스크 필터 개발했다. 연합뉴스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20번 이상 빨아도 성능 유지되는 마스크 필터 개발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2월 설립된 KAIST 창업회사 ‘김일두 연구소’에서 1시간에 폭 35㎝, 길이 7m의 필터를 생산할 수 있다. 하루 평균 마스크 필터 1천500장을 제조할 수 있는 양이다.

장건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