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 추가휴업 긴급 대책, 사실상 기존 대책 되풀이

교육부의 2주간 추가 휴업 결정 후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이 긴급 대책을 내놨지만,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개학이 5주째 미뤄진 상황에서 시교육청이 교육 현장의 요구에 따라 세밀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시교육청은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법정 수업일수를 10일 내로 권고하겠다고 발표하고 이에 따른 긴급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시교육청이 제시한 핵심 대책은 온라인 가정학습 서비스·비대면 대출서비스·학사운영 안정화 지원 테스크포스·원격 온라인 지원 사이트·통합심리지원반·긴급 돌봄 등이다.

또 ‘코로나19 학교 감염병 대응 매뉴얼’ 보급, 개학 이후를 대비한 급식 방법 고안 등의 방안만 제시했다.

이 중 새롭게 추가한 대응법은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을 돕는 통합심리지원반 운영이 전부다.

현장에서 꾸준히 문제제기가 나오고 있는 맞벌이 부부 가정돌봄 대책·돌봄전담사 업무 과중·고3 수험생 학사 계획 등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학교와 학생 모두 대규모 혼란을 겪고 있는 온라인 강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도 나오지 않았다.

최근 집단 감염 등 우려가 쏟아진 긴급 돌봄 시스템에 대해서는 제도 개편 없이 수요조사만 다시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한 교장은 “가정 상황에 따라 수업시간 외에도 학교의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이 있다”며 “이 아이들에 한해서라도 가정방문을 해도 되느냐”고 도 교육감에게 물었다. 하지만 도 교육감은 “즉답하기 어렵다”며 답을 피했다.

당장 개학이 미뤄진 현 시점에서 교육현장의 혼란을 해결할 실질적인 대책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온라인 모니터링 등을 통해 추가 지원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필요한 대책이 없는지 계속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