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거대 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비례대표용 정당으로 인해 비난을 자초하거나 속앓이를 하고 있다.
민주당은 18일 비례대표용 범여권 연합정당 ‘더불어시민당’을 출범시키면서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 뿐만 아니라 정의당으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고, 통합당은 비례대표용 위성·자매정당인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공천 명단 교체를 놓고 갈등을 매듭짓지 못해 속앓이를 하는 중이다.
민주당은 이날 플랫폼 정당 ‘시민을 위하여’와 함께 비례대표용 범여권 연합정당 ‘더불어시민당’을 출범시켰다. 더불어시민당에는 민주당과 시민을 위하여, 가자환경당,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평화인권당 등 6개 정당이 협약이 체결했다고 우희종·최배근 ‘시민을 위하여’ 공동대표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
이에 대해 통합당 이창수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연합정당’운운하며 대의명분이라도 있는 것처럼 포장하고 있지만, 새 당명에서 드러나듯 결국은 민주당의 비례정당에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고양갑)도 이날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정의당 의석수 늘리기 차원에서만 보자면 위장정당에 합류하는 것이 도움된다는 사실 또한 모르지 않는다”며 “그러나 그 길은 당장엔 쉽고 달콤해 보여도, 결국엔 대한민국의 정치를 망치는 분명한 패착이자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다”며 민주당에 유감을 표명했다.
미래한국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공관위가 지난 16일 마련한 46명의 명단 중 ‘당선권’에 해당하는 20번 이하 명단에 대한 일부 재의를 의결했다. 정운천 최고위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5명 이상 재의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례대표 후보 공천을 둘러싼 통합당과 미래한국당 간 갈등이 일단 수습 국면에 들어갔지만 공관위에서 통합당이 만족할만한 수준의 교체·수정을 하지 않을 경우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