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추진 중인 ‘문화예술 특화거리’에 공간·기능적 확장성 반영한 장기적인 사업추진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문화예술 특화거리는 민선 7기 공약사업 중 하나다.
인천연구원은 문화예술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정책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의 사업추진, 사업의 확장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18일 밝혔다.
연구원이 과정 중심의 사업추진을 강조하는 이유는 어떠한 과정을 통해 문화예술 특화거리의 자생성을 강화할 것인지, 또 특화거리 조성사업의 효과를 어떻게 지역의 문화예술 진흥과 연계시킬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실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또 사업의 확장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을 제안한 이유는 현재 시범사업이 중구 개항장 일대를 사업 대상지로 정했지만, 공약사업 계획과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자문위원회에서 부평구 캠프마켓 반환 예정지와 동구 배다리 지역을 사업에 포함시키는 것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앞서 연구원은 전라남도 순천시의 ‘문화의 거리’와 경상북도 포항시의 ‘꿈틀로’, 전라북도 군산시의 ‘근대산업유산예술창작벨트’ 등에 대한 사례조사를 했다.
이를 통해 시의 문화예술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정책 제언을 ‘체계’, ‘공간’, ‘공동체’, ‘확장’의 영역으로 나눠 제시했다.
‘체계’엔 사업 담당 조직의 정비와 협력적인 사업 추진체계 구축을, ‘공간’엔 공간 뱅크 운영을 비롯해 참여 예술인들의 지역·공간에 대한 리서치와 재해석 지원을 꼽았다. 또 ‘공동체’엔 문화재단-참여예술인-전문가-주민·상인 간 관계 형성 사업추진과 문화예술 특화거리 세미나 운영, ‘확장’엔 사업과정 아카이빙과 환류체계 운영, 중장기 문화예술 특화거리 조성계획 수립 등을 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시는 2019년 9월 문화예술 특화거리 조성사업의 주체를 인천문화재단으로 변경했고, 재단은 중구·개항장 일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사업대상지의 창작공간과 연계한 예술 활동을 지원, 앞으로 문화예술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계획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