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폭락에 두 시장에 사이드카도 발동
19일 장중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동시에 8% 넘게 폭락하면서 두 시장의 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했다. 서킷브레이커가 두 시장에 발동한 것은 지난 13일에 이어 역대 두 번째다.
한국거래소는 12시 5분부터 20분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유가증권시장의 서킷 브레이커는 올해 들어 두 번째, 사상 다섯 번째다. 코스피는 전일종가지수(기준가격) 1,591.20p에서 1,461.51p로 129.69p(-8.15%) 하락(8%이상, 1분간 지속)해 1단계 CB가 발동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가 전일종가 485.14p에서 444.81p로 40.33p(-8.31%) 하락해 1단계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했다. 이는 올해 들어 두 번째, 역대 아홉 번째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락할 때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제도다. 코스피에는 1998년 12월, 코스닥에는 2001년 10월에 각각 도입됐다.
두 시장에선 사이드카(프로그램매매 호가 효력정지)도 발동했다. 11시 50분 유가증권시장 사이드카가 발동했다. 올해 들어 세 번째다. 코스피200선물(최근월물)이 전일종가(기준가격) 211.60p에서 200.60p로 -11.00p(-5.19%) 하락한 후 1분간 지속해 사이드카가 발동한 것이다. 발동시점으로부터 5분간(11:50~11:55) 프로그램매매 매도호가의 효력정지됐다.
이날 12시 54분 경 코스닥시장에서도 사이드카가 발동했다. 코스닥150선물 6월물이 전일종가(771.50p) 대비 48.00p(6.22%) 하락하고, 코스닥150지수가 전일종가(771.64p) 대비 47.45p(6.14%) 하락한 후 1분간 지속돼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한 것이다. 발동시점부터 5분간 접수된 프로그램매매 매도호가의 효력정지됐다.
사이드카는 선물시장이 급변할 때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다. 유가증권시장은 1996년 11월, 코스닥시장은 2001년 3월 제도를 도입했다.
이날 증시는 유가증권시장은 전일 대비 133.56(-8.39%) 1,457.64로, 코스닥시장은 56.79(-11.71%) 내린 428.35로 마감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