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1. 한국에 거주한 지 올해로 10년차가 된 중국교포 A씨(36)는 3년간 몸담았던 시흥의 한 공장으로부터 돌연 ‘무기한 출입 금지’를 통보 받았다. 코로나19 여파로 사실상 실직자가 된 그는 최근 중국을 다녀온 적이 없다고 항변했지만 공장 관계자는 ‘중국인인 게 이유’라고 짧게 답한 뒤 자리를 떴다. A씨는 “바이러스 발원지가 중국이니 한국 국민의 마음이 어느 정도 이해는 가지만 당장 내일부터 생계를 어떻게 이어갈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사례2. 미국에서 교환학생으로 체류 중인 대학생 B씨(24ㆍ수원)는 최근 현지에서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본격화되면서 당혹스러운 일을 겪었다. 마트에 줄을 서 있는 그에게 누군가 다가와 손으로 총 모양을 만들어 쏘는 시늉을 한 것이다. B씨는 “처음 보는 미국인이 ‘Go back to your country(너희 나라로 돌아가)’라며 욕설을 내뱉었다”며 “언제, 어떻게 변을 당할지 몰라 외출이 두렵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요즘 들어 ‘No Chinese(중국인 입장 금지)’나 ‘No Asian(아시아인 입장 금지)’이라는 경고문을 붙인 식당이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21일)’을 하루 앞두고 코로나19 사태로 드러난 ‘인종차별’이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세계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감염 여부와 관계없이 인종을 이유로 차별하는 행태가 국내ㆍ외를 가리지 않고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중국 방문력과 관계없이 오랜 시간 한국에 거주한 이들까지 중국인이라는 이유로 일자리를 잃거나 비난받는다.
애초 대한의사협회에서 주장한 것은 ‘중국으로부터의 입국 금지’였으나 대다수 여론이 ‘중국인 입국 금지’로 오해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미국ㆍ유럽 등 해외에서도 코로나19 감염이 확산하면서 아시아 인종에 대한 차별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박창호 숭실대 정보사회학과 교수는 “감염병은 감염된 사람과 그들의 경로를 따져봐야 할 문제인데 지역ㆍ인종에 대한 혐오로 변질돼 우려스럽다”며 “우리 안에 내재된 편견이 코로나 사태를 통해 인종차별로 발현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할 때”라고 밝혔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