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 시민단체의 낙선 운동, 즉 ‘데스노트’가 인천의 선거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각 시민단체가 뽑은 인천의 낙선 대상자 중 최대 75%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23일 참여연대 등에 따르면 인천 경실련을 포함한 26개 시민단체 및 연대기구가 모인 2020총선시민네트워크가 최근 출범했다. 2020총선넷은 오는 4월 초께 4·15 총선 낙선 대상자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19일 4·16연대는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전국 공천 부적격 후보자 1차 명단 18명을 내놨다. 이 명단엔 미래통합당의 배준영(중구·강화·옹진), 안상수(미추홀을), 정유섭(부평갑) 후보 등 인천지역 3명을 포함하고 있다. 4·16연대는 이들이 세월호 참사와 연관이 있거나 참사 이후 진실을 왜곡하고 조사를 방해했다며 부적격자로 뽑았다.
이와 함께 참여연대는 20대 국회에서 나쁜 법안을 발의한 후보로 정 후보를 비롯해 더불어민주당의 유동수(계양갑) 후보를 꼽았다. 정 후보는 비례대표 폐지 관련 법안을, 유 후보는 기업 구조조정 촉진 관련 법안을 각각 발의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들은 또 지역 활동이 없거나, 철새 및 선거구 이동, 낙하산 공천, 막말·망언, 나쁜 법안 발의한 후보 등에 대한 낙선 운동도 벌일 예정이다. 시민단체들은 이 같은 기준을 토대로 인천지역에서 민주당 1~2명, 통합당 5~6명의 후보를 낙선 대상에 올리는 것을 검토 중이다.
특히 지난 20대 총선에서 시민단체의 낙선 운동은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낙선 운동 대상에 오른 인천의 후보자 중 50~75%가 선거에서 패했다. 당시 2016총선넷이 뽑은 인천의 낙선 대상자인 4명(윤상현·윤종기·조전혁·황우여) 중 3명(윤종기·조전혁·황우여)이 낙선했다.
인천유권자위원회가 낙선 대상자로 선정한 7명(윤상현·윤종기·한광원·문대성·조전혁·이학재·황우여) 중 5명(윤종기·한광원·문대성·조전혁·황우여)이 선거에서 패해 고배를 마셔야 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가 낙선 대상자로 뽑은 4명(윤상현·한광원·이학재·황우여) 중 2명(한광원·황우여)이 선거에서 졌고,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낙선 대상자인 2명(윤상현·조전혁) 중 1명(조전혁)이 선거에서 패배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시민운동은 계파 공천이 여전히 난무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부실한 검증을 강화한다는 의미”라면서도 “자칫 한쪽으로 치우치게 될 경우 시민운동의 순수성을 의심할 수 있기에 중심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그는 “인사 검증의 기준이 여·야 후보 모두에게 동일하게 작용해야 할 것”이라 했다.
이수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