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채권시장안정펀드와 증권시장안정펀드를 내달 초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기존의 채권시장안정펀드 10조 원을 즉각 실시하고 10조 원을 신속하게 추가 조성해 총 규모를 20조 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10조 7천억 원의 증권시장안정펀드는 금융권이 주도해 만들고 증권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에 투자할 예정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2차 비상경제회의 직후 나왔다.
2차 회의에서 제1차 회의시 50조 원이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은 100조 원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취약 실물부문에 대한 정책금융 공급규모를 58조 3천억 원으로 증가하고, 주식시장, 회사채시장, 단기자금시장 등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할 수 있는 41조 8천억 원 규모의 펀드·자금을 마련할 계획이다.
29조 2천억 원이던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은 29조 1천억 원이 추가돼 총 58조 3천억 원으로 늘어났다. 기업자금애로가 중견·대기업까지 미치면서, 대기업까지 포함해 기업자금 지원 여력을 확충하기로 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지난 19일 발표한 29조 원 규모의 자금지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집행해 나가겠다”라면서 “중소·중견기업들이 견뎌낼 수 있도록 모든 정책금융기관을 총동원해 29조 원을 추가 공급하고, 필요하다면 대기업에 대해서도 자구노력을 전제로 자금을 공급하겠다”라고 밝혔다.
회사채·단기자금시장 안정화를 위해 31조 1천억 원이 지원된다.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우선 10조 원 규모로 가동하고, 신속하게 10조 원 추가 조성해 개시한다. 자금융회사의 유동성 등을 고려해, 1차 캐피탈 콜 규모는 약 3조 원 내외다. 투자대상은 회사채, 우량기업CP, 금융채 등이고 금융권 내부절차를 거쳐 4월 초 본격적으로 매입을 시작할 예정이다.
회사채 발행 시장에는 4조 1천억 원이 지원된다. 2조 2천억 원 규모의 회사채 신속인수제도가 시행되고 산업은행은 1조 9천억 원가량의 회사채 차환발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CP 등 단기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7조 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금융권에선 5대 금융지주, 선두 금융사,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10조 7천억 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다. 캐피탈 콜 방식으로 자금을 모집해 증권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예: KOSPI200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금융권 내부절차를 거쳐, 4월 초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지난 23일 은행권과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금융지원 협약을 체결했고 25일부터 금투, 보험, 여전,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모든 금융권과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