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수급자 평균 81.8세…만성질환 3.4개

장기요양수급자 평균 연령은 81.8세로 3.4개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2019 장기요양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처음 실시된 실태조사는 앞으로 3년마다 나온다.

장기요양 수급자 중 남성은 27.2%, 여성은 72.8%로 조사됐다. 평균연령은 81.8세로 80세 이상 고령 수급자가 전체의 65%를 웃돌았다. 장기요양 수급자는 평균 3.4개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었다. 주요 질병은 고혈압(60.3%), 치매(57.2%), 당뇨병(29.3%), 골관절염 또는 류마티즘(27.8%), 뇌졸증(25.8%) 순이었다.

조사대상 수급자 중 77.5%는 장기요양급여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 중 70.3%는 재가급여. 나머지 29.7%는 시설급여를 활용했다. 장기요양급여 이용을 자녀가 결정하는 비율은 68.8%였다. 배우자, 본인이 결정하는 경우는 11.7%, 8.6%였다.

장기요양 재가수급자 중 단독가구는 34.0%였다. 자녀동거가구, 부부가구는 각각 31.9%, 24.8%로 집계됐다.

노인 단독가구 중 26.5%는 가족과 같은 읍·면·동에 거주하고 있었다. 14.8%는 가족이 같은 시·도(14.8%), 다른 시·도(33.2%)에 살고 있는 비율도 절반에 가까웠다. 독거 수급자 노인의 돌봄 공백에 대응할 필요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장기요양 시설수급자 중 90.6%는 노인요양시설, 9.4%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이용하고 있었다. 평균 입소기간은 2.8년이었다. 시설 내 1인실은 3.3%에 불과하고 55.0%가 4인실을 사용하고 있었다.

곽숙영 노인정책관은 “이번 장기요양 실태조사를 통해 장기요양 이용자의 특성과 수요, 공급자들의 실태와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초고령화 사회에 대응해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적·양적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대책을 지속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