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의 버스업계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외 실효성 있는 대책 필요"

“고속도로를 달릴 버스가 없는데 과연 통행료 한시 면제가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코로나19 사태가 두 달여 넘게 이어지면서 경기지역 버스업계가 경영난으로 벼랑 끝에 몰린 가운데(본보 30일자 7면) 정부가 현장 목소리를 고려하지 않은 허울뿐인 대책만 내놓고 있다는 불만이 쌓이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와 버스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9일부터 시외ㆍ고속버스 등 노선버스의 모든 고속도로 통행료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승객이 감소,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버스업체들을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는 코로나19 위기경보가 ‘심각’에서 ‘경계’로 전환될 때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버스업계는 이 같은 정부 대책에 대해 큰 효과는 없을 것이란 회의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경기ㆍ서울지역과 인천국제공항 왕복노선 등을 운행하는 도내 A 업체의 경우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시외버스와 고속버스 운행이 각각 최대 70%, 90%까지 감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출퇴근이나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는 이용객들 덕분에 그나마 어느 정도 이용실적이 나오는 시내버스와 달리, 시외ㆍ고속버스 등은 감염병 사태로 지역 간 이동이 줄어든 탓에 이용률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A 업체 관계자는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는 당연히 없는 것보다 있는 게 낫지만, 재정난 탓에 생사를 오가는 버스업체에 많은 도움이 되진 않을 것”이라며 “대중교통은 공공제 영역인 만큼 막대한 예산 지원이 아니더라도 적어도 운행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금액이라도 정부가 보조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영난으로 인해 이달 전 직원 급여를 약 20% 삭감한 도내 B 업체는 정부의 금융지원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B 업체는 금융지원도 결국 돈을 빌린 후 나중에 갚아야 하는 것으로, 재정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안이 아니기 때문에 업체가 선택하기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어려움을 겪는 버스업계 지원하고자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뿐 아니라 노선 운행 횟수 감축, 지방자치단체 재정지원금 조기 집행 등 대책을 추진 중”이라며 “버스업계에 금융지원 및 고용유지지원금 등을 안내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예산 지원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