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30만 가구 주택공급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3기 신도시’가 용도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복합용지’(White Zone)로 계획된다. 또 주거단지는 지하철 등 광역교통 수단과 걸어서 10분 이내 거리에 배치되고, 친환경 생태녹지와 자율주행도로 등 각종 스마트도시 기술이 대거 적용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30일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등 ‘3기 신도시 기본구상 및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공모’ 결과를 발표했다.
3기 신도시의 중심지에는 복합용지가 적용된다. 복합용지는 앵커기업 유치 등 미래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도록 용도를 고정하지 않고 토지용도, 건축계획 등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땅이다. 특히, 신도시 랜드마크 건물 조성과 앵커기업 유치를 뒷받침하면서 신도시의 상가가 실제 수요보다 많이 공급돼 공실이 대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안이기도 하다.
또 도보로 10분 이내에 지하철과 S-간선급행버스(BRT) 등 광역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도록 단지를 배치했다. 광역급행철도(GTX)-B와 S-BRT 정류장 등 교통 핵심거점 등을 특화구역으로 설정하고서 교통과 자족, 주거, 공원 등 휴식공간이 어우러지는 특화설계가 적용된다. 자율주행도로, S-BRT 등 미래교통 인프라와 제로에너지 타운,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등 에너지 절감 시스템 등이 대거 도입된다.
지구별로 보면 남양주 왕숙은 친환경문화복합, 사회경제복합, 비즈니스복합 등 3개 중심생활권과 주거지 반경 500m 이내 공원과 학교 등 공공시설이 포함된 9개 근린생활권으로 구성된다. 모든 생활권이 공원과 녹지로 연결된다. GTX-B역, S-BRT 정류장 등을 짓고 이를 퍼스널모빌리티 등과 연결해 지구 내 벤처타운 등지의 출퇴근 시간을 최소화한다.
하남 교산지구는 크게 자족중심(4곳)ㆍ주거중심(8곳) 생활권으로 구분하고 이를 보행 중심의 12개 소생활권으로 세분화했다.
중부고속도로로 인해 단절된 지구 북쪽과 남쪽을 연결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특화구역으로 설정한다. 특화구역 고속도로 상부에는 이를 가로지르는 인공데크 공원이 조성되고, 지하층에는 BRT, 지하도로, 공유주차장 등 첨단 교통 물류 기능이 들어간다.
인천 계양지구에서는 S-BRT가 김포공항역(9ㆍ5호선)과 부천종합운동장역(GTX-Bㆍ7호선ㆍ대곡소사선)을 이어가며 교차로 등을 막힘 없이 운행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남북의 S-BRT 노선과 동서의 계양산ㆍ굴포천을 잇는 녹지축의 교차점을 특화구역으로 설정하고, 복합환승센터, 기업ㆍ상업용지, 스타트업 캠퍼스 등이 어우러지는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