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천식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사망률도 덩달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천식은 폐 속 기관지에 염증이 생겨 기도가 좁아지면서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이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 원인이 매우 다양하다. 환자에 따라 증상이나 심한 정도가 각기 달라 완치가 쉽지 않다. 특히 노년층에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우리나라 천식의 유병률, 사망률, 의료이용 형태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5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알레르기내과 박해심 교수팀(공동연구 의학연구협력센터 의학통계실)은 200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4년 동안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맞춤형 DB와 통계청 자료를 통해 천식 환자의 유병률, 사망률 등을 분석했다. 1천300만 명에 달하는 환자를 분석한 것으로 의료환경ㆍ인구ㆍ사회ㆍ경제적 요인과의 연관성도 함께 제시했다.
그 결과 천식의 유병률은 2002년 1.55%에서 2015년 2.21%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중증 천식의 비율이 전체 천식 환자 중 2002년 3.5%, 2015년 6.1%로 1.7배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유병률은 여성이 높지만, 사망률은 남성이 더 높았다. 천식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은 암으로, 2002년 37.3%, 2015년 30.1%이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천식 환자의 사망 전 3개월 동안의 처방기록을 확인해 천식 관련 사망(asthma-associated deaths)을 정의한 결과, 천식 관련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통계청이 발표한 천식 사망률(asthma-caused deaths)은 감소하고 있다는 내용과 반대되는 결과”라며 “천식은 삶의 질을 급격히 저하하고, 2004년 기준 사회적 비용이 4조 1천억원 이상인 것으로 추계되지만, 천식의 복잡한 질병 기전과 만성적인 경과 등으로 역학조사에서 실제보다 낮게 보고되고 있고, 누락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박해심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규모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로 우리나라 천식의 현황을 확인한 것으로, 천식의 유병률, 사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의료비용, 사회경제적 비용의 부담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는 앞으로 천식과 관련한 국민 보건 및 의료분야의 정책 수립, 관련 분야 연구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2월 ‘Allergy Asthma Immunol Research’에 ‘빅데이타를 이용한 고령화에 따른 한국의 천식 유병률 및 사망률에 관한 연구(Increasing Prevalence and Mortality of Asthma With Age in Korea, 2002?2015: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