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임금 선지급 '호응'

인천시가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에 대한 임금 선지급을 시작한 첫날에만 전체 대상자 중 절반 이상이 신청하는 등 호응이 뜨겁다. 특히 이번 임금 선지급은 인천시가 코로나19로 일자리가 끊겨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을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중앙정부에 제안한 것으로, 적극적인 재난기금 정책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는 지난 3일 인천의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들에게 임금 선지급 신청을 받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인천의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는 약 3만3천700명이다. 이 중 첫날에만 약 70%인 약 2만3천명의 신청자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임금 선지급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을 못 해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참여자의 생활 안정이 목표다.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는 지난 2월 24일부터 일을 못하고 있다. 시는 부족한 근무 시간은 코로나19 사태 진정 후 근무시간 연장 등을 통해 맞출 방침이다.

특히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는 소득하위 70% 중 소득인정액 등을 기준으로 선발해 참여자 중 상당수가 저소득층이다. 시는 전체 참여자 중 15%는 소득인정액이 ‘0원’으로 노인일자리 없이는 생계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3월 전국에서 최초로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에 대한 임금 선지급 방안을 보건복지부에 제안했다. 복지부는 시의 제안을 받아들여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참여자에게 이같은 방안을 적용하라는 지침을 내린 상태다.

이 밖에도 시는 시장형과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참여자에 대해서도 임금을 선지급하는 방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시장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는 3천990명이며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참여자는 2천700명이다.

성용원 시 복지국장은 “지금은 전시에 준하는 위급한 상황으로 판단해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임금의 선지급을 요청한 것”이라며 “나머지 일자리 유형에 대해서도 임금 선지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