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신보 대처는 빨랐고 적절했다

경기신용보증재단이 평가할만한 성과를 보였다.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 보증 실적이다. 전국 16개 지역 신보 가운데 가장 많다. 1월부터 3월 말까지 7천433억원을 지원했다. 2만4천804개 업체가 보증혜택을 봤다. 코로나19가 확산된 기간에 실적은 특히 눈에 띈다. 2월10일부터 3월 말까지의 보증지원이 1만6천735개 업체, 5천250억원이다.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 업무가 통계로 확인된 셈이다.

코로나19는 우리 사회 전체를 무너뜨렸다. 어느 한 분야를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의 붕괴다. 그럼에도, 특히 타격이 심한 계층은 소상공인, 소기업이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만큼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타격이 크다. 이들이 기댈 수 있는 곳은 오로지 금융이다. 위기를 버텨나갈 대출에 모든 걸 건다. 여기에 보증 지원과 저리 대출 등을 돕는 것이 신보다. 경기신보의 1등이 갖는 의미다. 가장 많이 구제했다는 얘기다.

차별화된 접근을 볼 필요가 있다. 적절한 준비와 신속한 이행이다. 2월에는 신규 인력 173명을 채용했다. 업무 폭주를 염두에 둔 사전 준비였다. 지원을 신속히 처리할 전담반도 꾸렸다. 본점 인력 26명으로 구성된 신속지원 전담반, 영업점에 별도로 구성된 161명의 품의전담팀을 가동했다. 효과는 즉각적이었다. 1월에 190건이던 하루 보증서 발급건수가 3월말에 1천100건으로 늘었다. 준비 없이는 못 했을 처리량이다.

소상공인 지원 업무에 정부도 초긴장이다. 갖가지 대책이 이어진다. 6일 선보인 금융산업 근로자 초과 근무 결정도 같은 맥락이다. 금융 분야의 노조ㆍ사용자,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합의했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탄력 운영해 소상공인 금융 지원에 나서겠다고 했다. 만시지탄이지만 환영할 일이다. 소상공인의 위기가 이 정도다. 정부가 목숨처럼 여기던 주 52시간도 접어둬야 할 정도다.

그런 노력을 경기신보는 해왔다. 신규 직원을 과감히 늘려 대비했다. 분야별 전담반을 구성해 처리 속도를 높였다. 그 결과가 ‘전국 신보 보증 실적 1위’라는 결과다. 코로나19 정국에서 수많은 정책이 쏟아져 나온다. 하지만, 그 수만큼의 정책들이 말에서 그친다. 실천력이 없고, 적응력이 없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당연한 업무를 한 것일 수도 있는 ‘경기신보 1등’에 특별한 평가를 보내는 이유도 여기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