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제언] 道체육회, 임원구성 TF팀 출범을

“경기도ㆍ체육회 포함 각 분야 고루 참여하는 임원 선임 TF팀 꾸려야”

▲ 최종길 경기도컬링연맹 회장

민간 첫 경기도체육회장이 당선된 후 80여일이 지났다. 민선 체육회장 시대에 대한 기대감 속에 출범할 예정이었던 경기도체육회는 그러나 선관위의 당선 무효 결정과 이에 따른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으로 타 시ㆍ도 보다도 한 달 늦게 첫 발을 내디뎠다.

민선 체육회장 취임 후 경기도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채 갈등 양상을 빚고 있다는 언론 보도와 체육계 소식을 접하면서 심히 우려가 됐다. 민간 체육회장 제도는 지방체육이 정치에 예속되지 않고 자율적인 운영과 독립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예산 문제로 인해 완전한 독립과 자율은 요원하다. 경기도를 비롯한 시ㆍ군체육회가 모두 예산의 대부분을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원받는 상황 속에서 현실적으로 지자체의 관리ㆍ감독을 피하기는 어렵다. 지방체육회가 지자체와 협력해 갈 수 밖에 없다.

최근 도체육회와 도의 갈등 상황이 주요 임원 선임 때문이라는 얘기가 들린다. 인사는 회장의 고유 권한이 분명하다. 그러나 법적인 뒷받침이 없는 상황서 도로부터 연간 4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지원받고 있는한 독자적으로 행동할 수 없는 것 또한 어쩔수 없는 현실이다. 빠른 임원 구성을 위해 도체육회가 대의원총회를 개최하려다가 코로나 사태로 인해 두 차례 연기됐다. 이원성 회장으로서는 답답할 수 있는 상황이다. 다행이도 이 회장이 언론을 통해 도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회장이 자신의 선거를 도운 인사 위주로 임원을 구성하려 한다면 그 것은 옳지 않다. 정치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도입한 민간 회장제가 자칫 선거판 잔치로 끝나면 이 또한 정치행위기 때문이다. 임원 구성 논란이 민선 체육회의 발목을 잡지 않도록 객관적이고 공정한 임원 선임을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이 필요하다. 체육계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고 종목과 지역,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 여성, 동ㆍ하계 안배 등 전문가가 고루 참여토록 해야 한다. 선거를 도운 사람들의 전유물이 돼서는 안된다.

이원성 회장은 지난 1월 선거에서 39.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대의원이 60%나 된다. 이들 인사나 전문가들에게도 기회를 줘야 한다. 종목단체 및 시ㆍ군체육회장과 사무국장, 엘리트 및 생활체육, 학교체육을 대표하는 인사와 도 관계자가 고르게 참여해 임원 구성을 논의한다면 임원은 훨씬 알차게 꾸려질 것이다. 이원성 회장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

최종길 경기도컬링연맹 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