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동구가 반려묘 동물등록제 시범사업 지역임에도 지금까지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는 반려묘 동물등록에 대한 자체적인 통계 등도 없다.
8일 구에 따르면 지난 2019년 농림축산식품부의 반려묘 동물등록제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다.
동물등록제는 동물 유기를 막기 위해 내장형 마이크로칩 등을 이용해 반려동물을 등록하는 것이다.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등록, 지역 지방자치단체의 관리를 받는다.
당초 동물등록제는 반려견에 대해서만 가능했다. 그러나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18년부터 일부 기초지방자치단체에 대해 반려묘까지 동물등록을 허용하고 있다. 현재는 동구를 비롯해 전국 80여개 기초 지자체에서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동구에서는 인천종합동물병원에서 등록할 수 있다.
하지만, 2019년 동구 지역 내에서 반려묘를 등록한 사례는 단 1건도 없다. 2020년에도 4월까지 반려묘 등록 사례는 0건이다. 특히 구는 지역 내에서 반려묘를 기르는 세대에 대한 기초적인 통계조차 관리하지 않고 있다.
구는 반려묘 동물등록은 시범사업이다보니 별도의 관리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개에 대한 동물등록은 법을 통해 의무화했지만 반려묘 동물등록은 시범사업 중이라 의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반려묘 동물등록은 마이크로칩을 반려묘 몸 안에 삽입하는 내장형이라는 점도 실적이 저조한 이유다. 내장형 마이크로칩은 목걸이 형태의 동물등록 방식에 비해 훼손에 대한 우려가 없다. 그러나 일부 반려묘 주인은 내장형 마이크로칩이 반려묘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사례도 있다.
이 밖에 구는 반려묘 동물등록에 대한 인식이 많이 퍼지지 않았다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이다.
이에 구는 반려묘 동물등록에 대해서도 강아지 동물등록 때 지원하는 동물등록 수수료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반려묘 동물등록에 대한 홍보활동에도 적극 나선다.
구 관계자는 “반려묘 동물등록에 대해서는 아직 지역 내에서 분위기 자체가 형성되지 않았다”며 “반려묘 동물등록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제도 자체에 대한 홍보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