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규제 위기를 기회로’ 경기도 소부장 3대 전략 공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특화단지 등

▲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될 용인시 원삼면 일대. 경기일보 DB

일본 수출규제를 계기로 소부장(소재ㆍ부품ㆍ장비) 국산화에 대한 절실함이 환기된 가운데 경기도가 ‘소부장 산업 육성 3대 전략’을 공개했다. 경기도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소부장 특화전문단지로 지정 추진하고, 산학연관 클러스터를 통해 스타트업의 체계적 성장을 지원하는 등 ‘경기도가 선도하는 기술독립’을 실현한다는 복안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 육성 전략’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도는 지난해 7월 일본 수출규제 직후 ‘반도체 수출규제 대응 TF’를 가동하는 등 단기적 산업 피해 대처에 나섰으며, 이번에는 중장기적 기술독립을 위한 육성 전략을 수립했다. 해당 전략은 이달부터 시행된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100대 품목 공급안정성 확보, 산업 전반 경쟁력 강화 등)’도 고려했다.

도의 육성 전략 목표는 단기(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와 중장기(소부장 산업의 육성방안 종합 수립)로 나뉜다. 아울러 3가지 전략을 명시했다. 이는 ▲핵심전략품목 육성(수입 의존도 높은 품목 공급안정화, 전략적 투자가 필요한 품목의 기술경쟁력 제고) ▲산학연관 클러스터 촉진(연구개발ㆍ기술혁신ㆍ국제협력을 추진, 스타트업~소부장 강소기업~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체계적 성장 지원)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수요ㆍ공급기업 간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협력 및 연계) 등이다.

특히 상생협력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소부장 특화전문단지 지정 추진을 강조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월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한 ‘산업구조 자립화 계획’에 포함된 내용이며, 반도체 기업이 밀집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기반시설 구축, 기술개발, 사업화 등 강력한 인센티브를 받을 전망이다.

도는 다음 달 도출될 경기연구원의 연구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상반기 내 관련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부장 TF를 정기적으로 운영, 중앙과의 협업 속에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한편 일본은 지난해 7월 한국에 대한 반도체 핵심 소재 3개 품목 수출 규제 조치인 ‘개별 수출 심사’를 발동하는 등 사실상 ‘무역 보복’을 가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시점과 맞아떨어진 데 따른 해석이다. 이처럼 급작스러운 일본의 조치에 경기도를 비롯한 국내 산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국내 소부장 자체조달률은 기계ㆍ전기ㆍ전자 부문은 63% 미만, 반도체 제조업은 55%, 기타 소재 부품업은 35%에 불과하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