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완치 후 재양성' 지속 증가…"추가 안전장치 필요"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완치 후 재양성’ 판정을 받은 인원이 100명대를 훌쩍 넘어서자,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1만537명으로, 이 가운데 116명(1.1%)이 치료를 받고 격리해제 후 재차 ‘양성’ 판정을 받았다. 경기지역 완치 후 재양성 사례는 10건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완치 후 재양성 사례는 지난 9일 전국 기준 74명에서 10일 91명, 11일 95명, 12일 111명 등 최근 나흘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완치 후 재양성 사례에 대해 방역당국은 새로운 바이러스에 의한 ‘재감염’이 아닌 기존에 감염됐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한 것으로 추정 중이다. 아직 재양성 판정을 받은 확진자로 인한 2차 감염 전파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의학계는 코로나19의 완치 후 재양성 관련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방역당국이 재양성 사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학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진자가 치료를 마치고 격리해제를 하려면 24시간 간격으로 진행되는 진단검사에서 모두 ‘음성’이 나와야 한다”며 “이런 검증 절차에도 불구하고 재양성이 나오는 사례가 나오고 있어 완치 판정을 받아도 추가 격리 또는 재검사 기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미국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인원에 한해 적용 중인 ‘격리 종료 후 3일 내 검사’ 등 방법을 확진자 퇴원 시에도 확대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와 관련 중앙방역대책본부 관계자는 “완치 후 재양성 사례에 대해 모니터링하며 2차 전파 여부 및 의학적 평가 등을 분석 중”이라며 “재양성 사례에 대한 조사결과가 정리되면, 근거를 갖고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해 지침을 보완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지난 12일 코로나19 확진자 중 치료를 받은 후 다시 양성 판정이 나오는 사례에 대한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 관련 보고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