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문화예술관광 분야 종사자들의 위기극복을 위해 총 103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형 문화뉴딜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경기도는 긴급활동 지원, 취약근로자 보호, 공공시설 입주단체 임대료ㆍ사용료 감면 등이 담긴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예술관광 분야 생태계 유지는 물론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장영근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13일 경기도청에서 영상 브리핑을 열고 “도내 문화예술관광 분야는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부터 코로나19까지 재난상황을 맞아 6개월 이상 장기침체에 빠져 있다”면서 “경기문화재단, 경기아트센터, 경기관광공사, 한국도자재단, 경기콘텐츠진흥원 등 5개 공공기관과 협업해 문화예술관광 분야 지원을 위한 경기도형 문화뉴딜 프로젝트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경기도형 문화뉴딜 프로젝트에는 총 103억 원이 투입되며, 재원은 5개 공공기관이 기본재산 활용 등 재원확보로 35억, 사업재편을 통해 63억 원을 마련했으며 임대료ㆍ사용료 등 감면액 5억 원도 포함됐다.
특히 경기문화재단은 문화예술계 긴급 지원을 위해 자본금에 해당하는 기본재산 20억 원을 활용하기로 했다. 이는 문화재단 설립 이후 처음 있는 일로 그만큼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지원이 긴급하다고 도는 설명했다.
경기도는 이 재원을 통해 전업 예술인, 도예인, 영화종사자, 인디뮤지션, 프리랜서 강사 등 2천413명과 예술단체, 관광업체, 펜션업계, 관광식당업계, 지역서점, 콘텐츠기업, 공공시설 입주업체 등 1천732개 단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는 먼저 긴급활동 지원 분야로 10개 사업을 추진해 1천500명 및 1천46개 단체를 지원한다.
▲심사와 정산을 간소화한 신속공모 사업을 통해 위기에 처한 예술인 1천 명을 지원하는 ‘백만 원의 기적’ ▲도민들이 유료관광지와 펜션 등 숙박권 가격을 최대 7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선 구매하고 할인금액의 일정액을 관광업계에 지원하는 ‘착한 여행 캠페인’ ▲도예업체에 특례보증을 통해 업체당 최대 1천만 원의 자금을 2.8% 내외의 저렴한 금리로 긴급 유동성을 지원하는 ‘도예인 상생 특례지원’ ▲경기아트센터 공연장을 활용해 도내 공연단체를 대상으로 무관중 공연 및 온라인 방송을 지원하는 ‘방방콕콕, 예술방송국’ 등이 주요 내용이다.
취약근로자 보호 분야에서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과 지역서점 배송비용 지원 사업 등 7개 사업을 통해 활동이 중단된 예술강사, 영화종사자, 공예인, 인디뮤지션, 미디어센터 활동강사 등 프리랜서 등 913명과 500개 단체를 지원한다.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사업은 문화시설 휴관과 오프라인 교육?체험 프로그램 취소?연기로 생계위기에 처한 예술강사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과정에 이들을 참여시켜 활동 유지와 생계지원뿐만 아니라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예술 저변확대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지역서점 배송비용 지원은 물리적(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서점 방문이 줄고 인터넷을 통한 도서 배송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배송 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경기도 인증 지역서점 300개소를 대상으로 1개 서점당 36만 원씩 총 1억1천25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와 함께 도는 도립 박물관ㆍ미술관, 경기상상캠퍼스, 경기문화창조허브, 임진각 및 평화누리 등 공공시설에 입주해 있는 186개 업체를 대상으로 임대료ㆍ사용료를 감면한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