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사회복지전담인력 1일 10시간57분 근무...충원 시급

인천시의 읍·면·동 단위 맞춤형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전담 인력 충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인천만의 지역적 특성과 민·관 협력 등을 감안한 복지서비스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3일 인천복지재단이 인천의 맞춤형 복지서비스 직무분석 및 인력추계를 한 결과, 2020년 읍·면·동 등 사회복지 최일선 등에 283명의 사회복지전담 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재단이 군·구 복지업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이들이 1일 법정 근로시간(8시간)에서 2시간 57분을 초과해 평균 약 10시간 57분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직종은 1일 근무시간이 최대 13시간 22분에 달했다. 또 행정안전부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가구 150~200세대 당 전담직원 1명을 배치해야 하지만, 일선 현장에서 이 기준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도 드러났다.

이와 함께 인천의 사회복지전담 인력은 서울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 서울시 복지행정팀은 평균 4.4명, 찾아가는 복지팀은 평균 5.3명 등이다. 반면, 인천은 복지행정팀이 평균 2.4명, 찾아가는 복지팀은 평균 2.8명 등에 불과하다. 여기에 미추홀구·남동구 등은 서울에 비해 ⅓의 인력 뿐이다.

재단은 이 같은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2020년 읍·면·동에 248명을 충원하는 것을 비롯해 10개 군·구에 1명씩, 그리고 시 복지정책과에 3명, 사례관리를 위한 19개 종합사회복지관에 1명씩 등 모두 283명을 추가 배치해야 한다고 봤다.

아울러 복지서비스 체계 개편도 이뤄져야 할 것으로도 판단했다. 현재 인천에서는 한부모 세대와 장애인 세대, 청·장년 1인 세대가 주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앞으로 1인 세대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을 열어두고 거주와 세대 특성을 중심으로 한 특화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밖에 재단은 거주지 특화형이나 장애인 세대 등을 긴급지원하는 모델, 그리고 주민자치회나 인복드림 전달체계를 기반으로 한 주민 역량 강화 모델도 만들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재단 관계자는 “지역 단위의 공공서비스 안착을 위해선 민·관 협력이 함께할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지역 단위의 공공서비스 안착을 위해 인복드림 운영 체계 및 운영방안을 연구해 주민력 강화를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 모델을 명확히해야 한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