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는 코로나가 바꾼 일상이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많은 걸 바꿨다. 상당수가 코로나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홈코노미’로 불리는 신경제다. 사람들이 집에 머물면서 생긴 경제 활동을 일컫는다. 재택근무 장기화에 따른 관련 시장이 크고 있다. 화상 회의에 활용되는 솔루션인 ‘팀즈’가 성장했다. 지난달 이용이 1천% 이상 증가했다. 화상 회의에 필요한 웹캠의 경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배나 늘었다.
초ㆍ중ㆍ고교 온라인 개학에 따른 시장 변화도 주목된다. 학생들이 집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돕는 홈스쿨링 시장이 날개를 달았다. 영어 회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캠플리’는 올 들어 3월까지 학습자 수가 전년 동기보다 47% 늘었다. 수학전문 인터넷 강의 애플리케이션 ‘쎈닷컴’도 1년 전보다 4배나 급증했다. 이 부분은 신개념 산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발전시키고 지원해야 할 숙제가 행정에 있다.
또 하나는 침체된 경기 활성화다. 경기연구원이 낸 신용카드 매출 자료가 있다. 1월 20일부터 3월22일까지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1% 하락했다. 요식ㆍ유흥ㆍ유통은 특히 직격탄을 맞아 전체 감소분의 58.2%를 차지했다. 도내 31개 시군 모두 카드 매출액이 감소했고, 수원ㆍ성남ㆍ고양 등 대도시의 하락 폭은 더 컸다. 말할 것도 없이 비대면ㆍ비접촉 사회가 빚어낸 결과다. 되돌려야 할 영역이다.
경기도가 ‘포스트 코로나’를 행정의 화두로 삼았다. ‘경기비전 2030’ 용역에 ‘포스트 코로나’를 반영키로 했다. 경기연구원이 주도하는 용역인데, 경기도 행정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시기적으로나, 상황적으로 매우 적절한 조치다. 코로나19는 두 달여 만에 한국 사회 전체를 붕괴시켰다. 신규 확진자가 진정 국면에 들었다고는 하나 그 끝을 단정키 어렵다. 워낙 광범위해 복구에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코로나19와 벌였던 방역 전쟁만큼 고되고 지난한 싸움일 것이다. 이 미래의 작업을 현재로 끌어온 경기도의 발상이 대견하다. 기대컨데, 구호가 아니라 실질적인 이행단계로 들어가는 도정이 되길 바란다. 그러려면 앞서 우리가 주문한 방향성을 인식해야 한다. 코로나19 이후에도 바뀌지 않을 산업 구조는 그에 맞는 부흥책을 내야 한다. 코로나19가 직접 원인이 돼 붕괴된 산업에는 복구를 위해 지원해야 한다.
코로나19는 우리에게 경험하지 못했던 시련을 줬다. 포스트 코로나 역시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미래다. 각계의 고견을 듣고, 선택과 집중의 묘를 살려야 한다. 코로나19와의 전쟁에서 앞섰던 경기도 행정이 ‘포스트 코로나’ 대처에서도 앞서간다는 평을 듣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