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총선 압승, 인천현안 ‘청신호’_환경분야] 광역소각장·자체매립지

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 국회에 입성한 더불어민주당 현역의원은 수도권매립지 대체부지 조성을 위해 공동전선을 구축할 전망이다. 그러나 광역소각장 설치, 자체매립지 조성에는 이들부터 님비(Not In My BackYard)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20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인천에서 매립이 이뤄지는 생활폐기물은 1일 평균 1천106t이다. 이 중 시는 이 중 774t만 소각을 통해 매립하고 있으며 나머지 332t은 직매립하고 있다. 직매립은 환경 오염을 유발해 친환경 매립지 조성을 가로막는 요인이다.

1일 332t의 직매립은 인천의 광역소각장이 부족한 결과다. 인천에는 청라와 송도 광역소각장이 있다. 그러나 이들 시설은 노후화 등을 이유로 각각 350t, 400t을 소각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시는 지난 2019년부터 ‘인천시 친환경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 사업 기본계획 타당성 검토 및 기본 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 중이다. 또 공론화위원회에서는 ‘친환경 폐기물 관리정책 선진화 및 자체매립지 조성 공론화’ 안건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그러나 21대 총선 당선인의 공약과 당선 이후 행보는 시의 폐기물 정책 추진에 난항을 예고하는 요인이다.

더불어민주당 김교흥 당선인(서갑)은 당선 이후 청라 소각장을 방문해 소각장 폐쇄 및 대체지 확보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당선인은 청라소각장 폐쇄 및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같은 당 신동근 당선인(서을)도 군·구별 소각장 설치 원칙에 따라 청라소각장 반대를 공약화했다.

여기에 민주당 송영길 당선인(계양을)도 계양 테크노밸리 내 동양동·귤현동 소각장 설치 백지화를 공약화했다. 송 당선인은 이미 같은 권역인 부천 대장지구에 소각장이 가동 중이며 동양동·귤현동은 고도제한구역이라 소각장 설치에 부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시는 수도권매립지 대체부지 조성에 어려움을 겪을 것을 대비한 인천의 자체매립지 조성에고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정치인의 님비는 자체매립지 조성 과정에서도 되풀이 할 가능성이 높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박남춘 인천시장이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라 소각장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는데도 각 당선인들이 이를 정면 반박한 것”이라며 “곧 있을 시와 당선인간 만남에서 박 시장이 발생지 처리원칙에 대해 가지고 있는 당선인들의 입장을 묻고, 시정 방침을 다시 한번 강조해 설득해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