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공공시설 휴관 연장 등 강력한 방역 대책

중앙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했지만 인천시는 코로나19 종식까지 지역사회 감염 차단을 위해 종전의 강력한 방역 대책을 계속 추진키로 했다.

시는 지역 내 도서관·공연·체육 등 실내 공공시설을 계속 휴관하고, 각종 행사의 취소·연기, 교회·학원 등 집단시설의 방역지침 준수 여부 단속, 코로나19 검사 대상 확대 등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19일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줄어들자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끝내고, 오는 5월 5일까지 다소 완화한 형태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기로 했다. 하지만 박남춘 인천시장은 이를 두고 “감염경로 불분명 사례가 발생하는 등 아직 안심할 수 없는 만큼 사회적 거리두기는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정부에 냈다.

시는 우선 감염 차단을 위해 시민 스스로 생활방역 수칙 등을 지킬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을 활용한 홍보를 강화한다.

시는 또 시민 간 접촉을 줄이기 위해 도서관, 공연시설, 체육시설 등 대부분 공공시설의 휴관을 이어간다. 다만 인천대공원·월미공원 등 10개의 산림휴양시설의 실외 공간만 개방한다.

이와 함께 어린이날까지 열릴 예정이던 63개의 행사는 모두 취소·연기한다. 5월 예정이던 제53차 아시아개발은행연차총회는 9월 18일로 연기했고, 디아스포라 영화제와 문화재 야행도 9월로 잠정 연기한다. 각종 교육과 회의는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특히 교회·학원을 비롯해 공사현장 등 감염 위험성이 높은 민간시설은 계속 방역지침 준수 여부를 확인·점검하는 한편, 마스크 등의 방역물품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시는 코로나19의 신속한 발견을 위해 종전 질병관리본부의 의무검사 대상자 이외에도 검사 대상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앞서 시는 전국 최초로 해외입국자 전원에 대한 진단검사를 하는 등 최근까지 2만2천여건의 자체검사를 했고, 이중 39명의 감염자를 찾아내 지역사회 확산을 차단했다.

시는 퇴원 환자도 14일간 자가 격리를 하도록 하고, 이중 7일째엔 재검사도 한다.

시는 요양원 등 집단시설 500곳에 대한 샘플링 조사와 입소자 및 직원에 대한 강도 높은 방역관리를 한다. 또 소아청소년과·내과·이비인후과·가정의학과 등 1차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까지 폭넓게 진단검사를 한다.

박 시장은 “인천은 공항·항만이 있는 관문도시인 만큼 감염병 유입과 전파를 막기 위해 정부 권고안보다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불가피하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를 완전히 종식시키기 위해 300만 인천시민 모두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철저히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