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중소기업 체감경기 전망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경기전망 지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3천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5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한 결과 5월 업황 전망 경기전망지수(SBHI)가 전월 대비 0.6p 떨어진 60.0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전년 같은 달보다는 27.6p 떨어진 것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4년 2월 이후 최저치다.
경기 전망을 수치화한 SBHI는 100보다 높으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한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뜻한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경기전망 지수가 64.8을 기록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월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 세부 분야별로는 식료품과 비금속광물제품, 음료 등 4개 업종 경기전망 지수가 상승했지만, 전자 부품ㆍ컴퓨터ㆍ영상ㆍ음향 및 통신장비, 자동차 및 트레일러, 1차 금속 등 17개 업종 지수는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선 건설업과 서비스업은 상승했지만, 서비스업 내 운수업과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등 4개 업종은 하락했다.
경기변동 항목별로는 내수판매, 영업이익, 수출, 자금 사정, 고용수준 모두 전월 대비 악화가 전망됐다. 특히 수출은 20p 넘게 떨어지며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의 경영 애로(복수응답) 사항으로는 내수 부진(77.1%)과 인건비 상승(38.1%)을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3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69.8%로, 전월 대비 0.2%p 상승하고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4.5%p 하락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