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전국위 무산으로 '8월 31일까지 전대' 규정 남아
미래통합당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안이 28일 전국위원회를 힘겹게 통과했으나 김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사실상 거부하고 나서 원점으로 돌아갈 위기에 처했다.
통합당은 이날 오후 여의도 63빌딩에서 재적위원 639명 중 323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위원회를 열어 찬성 177명, 반대 80명으로 김 비대위원장 임명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통합당이 전국위에 앞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당헌 개정안을 통과시키려던 계획이 정족수 미달로 불발되면서 일단 비대위 임기가 오는 8월 31일까지 약 4개월 간이라는 점이 문제로 남았다.
당헌 개정안은 비대위가 출범할 경우, 오는 8월 31일 전당대회를 열도록 한 경과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내용을 담았다. 즉 김 비대위원장의 임기를 8월 31일까지로 제한하지 않겠다는 취지였으나 정원 45명 중 과반에 못 미치는 17명만 참석해 상임전국위 자체가 불발됐다.
이 규정은 통합당이 지난 2월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 등이 합쳐 출범하면서 차기 전대를 8월 31일까지 열어 새 지도부를 꾸리는 경과규정을 둔 것으로, 이날 당헌 개정이 무산되면서 경과규정은 일단 유효하게 됐다.
심재철 원내대표 겸 대표 권한대행은 전국위가 비공개로 전환되기 전 “당헌 개정은 새로운 비대위원장이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김종인 측 최명길 전 의원은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김종인 대표는 오늘 통합당 전국위에서 이뤄진 결정을 비대위원장 추대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 사실상 거부 의사를 피력했다.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