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망률 가장 높은 고혈압, 약물 치료 언제까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사망자 가운데 대다수가 기저 질환을 앓은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고혈압, 당뇨, 치매, 호흡기 질환, 심혈관과 같은 다양한 기저질환 가운데 고혈압 기저질환의 사망자는 66%로 가장 높았다. 이렇듯 고혈압은 항상 합병증 위험이 있어 성인병 가운데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3일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지부에 따르면, 고혈압 초기에는 증상을 알아차리기 어려워 환자 대부분이 치료시기를 놓친다. 이에 정기 건강검진을 받아 고혈압 질환을 초기에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대게는 약을 복용해 혈압을 조절하는 치료를 한다. 고혈압은 완치 없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병인 탓에 약 복용을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 의문을 품는 환자도 많다. 이에 대해 의료진 대부분은 “고혈압 환자 3분의 2 이상이 고혈압약을 복용해도 고혈압 상태가 남아있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지속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다만, 약물치료를 지속한 후 혈압이 3~6개월 이상 정상으로 유지되면 처음에 복용하던 약의 용량보다 적게 조절할 수 있다. 일부 환자들은 약 복용을 끊고도 정상 혈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꾸준한 정기검진을 바탕으로, 담당하는 의사와 상의하며 복용 약을 조절해 나가는 게 좋다. 또 혈압약 복용을 중단하는 것에 대해서도 담당의와 상담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혈압은 약물치료와 함께 식이요법 조절과 생활 습관을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생활습관과 식이요법을 전혀 조절하지 않고, 고혈압약 복용으로만 혈압을 조절하면 혈압이 정상화되어도 약을 줄이면 혈압이 다시 오를 수밖에 없다.

안철민 건강증진의원 원장은 “고혈압약을 복용하면서 혈압을 내리는 중에도 꾸준한 생활습관과 식습관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혈압이 정상화된 이후에는 약을 끊고자 운동량을 늘리고 염분 섭취를 줄이는 식습관으로 혈압 유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