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심 고양시의원 "자족도시 계획단계 맞춰 시민과 소통·공유해야"

▲ 4일 열린 제24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정 질문에 나선 김덕심 고양시의원.

고양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김덕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4일 제24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자족도시 계획을 둘러싼 허와 실’을 꼽으며 ‘소통과 신뢰’를 강조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앞으로 고양시에 건설될 고양일산테크노밸리, 고양방송영상밸리, 경기도 3개 기관(경기관광공사ㆍ경기문화재단ㆍ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이전 등과 시너지효과를 일으킬 경우 고양시는 아시아 마이스ㆍ경제중심도시는 물론, 경기 북부 최대의 자족도시로 발돋움 할 전망이다.

현재 추진 중인 고양 일산테크노밸리, 고양방송영상밸리, CJ 라이브시티를 포함한 한류월드, 킨텍스 제3전시장 등 역시 앞으로 고양시의 자족도시 구축의 일익을 담당할 예정이다. 특히 GTX-A노선, 인천지하철 2호선 탄현 연장, 대곡-소사선 등 광역교통망 혁신은 일산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고양시가 자족도시로 가는 길목에서 진실이 왜곡되고 가짜뉴스가 남발되고 있다는 점이다.

김 의원은 “지난해 12월 27일 자로 고양일산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을 위한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이 고시확정 됐고, 고양일산테크노밸리 사업부지에 입주의향서를 제출한 업체가 260개를 넘어섰다”며 “희망기업 대다수가 IT, BT 기반의 경쟁력 있는 기업과 금융기관이라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일부 시민들은 이 같은 사실이 왜곡된 보도라는 등 시민들 간의 의견이 분분하다”고 지적하며 이재준 고양시장에게 기업유치 관련 답변을 요구했다.

고양방송영상밸리 사업과 관련한 우려도 드러냈다. 김 의원은 “고양방송영상밸리 건립을 위한 부지가 도시계획심의(2019년 5월 29일)에서 공공지원시설(연면적 1만㎡) 남북평화개발업무용지(3만925㎡)로 변경, 사실상 고양방송영상밸리 내 방송영상 콘텐츠지원센터 건립이 무산됐다는 말들이 있다”며 “구체적으로 심의 날짜까지 게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것이 진실인지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지난 2월 4일 모 언론사에서 보도된 ‘아레나 위기설’ 관련 기사의 팩트체크를 요구한 한편, ▲GTX-A노선 현재 진행 상황과 앞으로의 계획 ▲인천지하철 2호선-탄현역 연장 관련 정확한 지역 표기 ▲대곡 소사선~일산역까지의 경유 역 설명 등을 촉구했다.

그는 “가짜뉴스는 강력한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여론을 왜곡해 선거판을 뒤흔들기도 하고, 정치ㆍ사회적인 갈등을 조장하거나, 심지어 경제를 혼란에 빠뜨리기도 한다”며 “가짜뉴스가 더는 생산되지 않도록 고양시는 자족도시 계획단계에 발맞춰 시민과의 정보 공유ㆍ소통을 강화, 시민들 간의 화합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양=유제원ㆍ김민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