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는 도내 180개 버섯재배 농가에 버섯 유해균을 진단할 수 있는 미생물 자가진단배지를 배포한다고 7일 밝혔다.
농가에 제공하는 자가진단배지는 오염을 일으키는 유해균의 밀도조사를 위한 미생물배지로 곰팡이 측정용, 세균 측정용으로 구분된다. 자가진단은 무균기(크린부스), 접종실, 배양실 등 조사가 필요한 농가 시설에서 공중에서 자연적으로 떨어지는 균(낙하균)을 수집 후 농가배양실에서 3~4일 배양하면 유해균의 밀도 측정이 가능하다. 측정용 배지 이외에 다른 기구가 필요하지 않아 농가에서도 쉽게 할 수 있고 유해균의 밀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는 지난 2013년부터 버섯 병해 발생 감소를 위해 농가의 시설배치, 버섯배지의 살균조건, 공조시설관리방법 등 오염 저감을 위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는 한편 병 발생 농가의 의뢰를 통해 오염 발생 원인분석, 시설관리방법, 병 진단 등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정구현 도농기원 버섯연구소장은 “도내 버섯 농가의 오염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버섯 균 배양 및 생육과정에서 유입되는 외부 유해균의 침입”이라며 “농가에서는 청결 유지를 위해 스스로 주기적인 유해균 밀도 측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