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961-11번 을지학원 종합의료부지가 인근 병원 건립 등 수요변동에 따라 계획이 무산, 10년 넘게 나대지로 방치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무엇보다 해당 부지가 종합의료부지로서의 가치를 상실해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도심 속 우범지대로 변질돼 적극적인 행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돼 지역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7일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에 따르면 협력단과 ㈜한얼경제사업연구원 및 보건ㆍ의료 및 국토계획 등 외부 전문가 자문단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10일까지 27년 전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나대지 상태로 방치돼 있는 수원 영통택지개발지구 내 영통동 961-11번지의 기존 도시계획시설(제2종일반주거지역) 결정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문제와 관련한 타당성 여부를 검토했다.
3만1천376㎡ 면적의 해당 부지는 영통택지개발지구에 대한 최초 도시관리계획을 결정 고시한 1994년 1월부터 도시계획시설로서 ‘종합의료시설’ 용도가 부여됐다. 이후 영통지구는 1997년 12월 준공, 2만7천가구 정주인구 10만명을 수용하는 수도권 주요 신도시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반면 대상부지는 ‘종합의료 시설’이라는 수요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용도 특성상 원매자없이 14년 동안 시행 자인 한국토지개발공사가 보유하다 2007년 10월 마침내 학교법인 을지학원이 이를 낙찰 받았다. 을지학원은 2007년 12월 1천2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건립계획을 발표하고 실시 설계까지 착수했으나 대내외 사업환경 악화로 2008년 10월 건립계획을 유보했다. 결국 을지학원은 2011년 의정부 병원계획을 발표하면서 영통사업에서는 완전히 손을 떼는 수순을 밟아 오늘에 이르게 됐다.
연구진의 이번 검토 결과, 수원의 의료시설 집적도는 인구 1천명당 의료시설수 1.292개로, 이는 서울 (1.782개), 성남(1.660개), 안양(1.455개), 부천(1.293개) 다음인 5위로 수도권 33개 도시 중 최상위 그룹에 속하고 전국의 다른 지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수원이 의료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낙후돼 의료 시스템의 양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논리는 성립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대상부지가 종합의료시설로의 가치를 상실해 새로운 활용방안을 찾아야 하는 것이 현실적인 상황으로, 새로운 활용방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의 변경을 수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특히 올해 7월1일에는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의 적용으로 도시계획시설이 해제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실상 현재 용도인 종합의료시설로 개발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조사ㆍ연구는 일체의 예단 없이 민간 경제활동의 정당한 이윤추구 관점과 사회경제ㆍ도시발전ㆍ주민복리적 공익 관점의 균형을 바탕으로 사업환경 및 부지조건을 진단ㆍ평가하고, 기존 용도의 유지 가능성에서부터 새로운 지역니즈의 반영에 이르기까지 부지 옵션별 타당성 여부와 함께 지역자산으로서의 활용 가치 극대화 방안을 모색했다”며 “대상 부지는 27년간 나대지로 방치돼 있어서 여러가지 도시 기능상 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어 이러한 부분을 바로 잡기 위해서 대상 부지에 적정한 도시기능적인 용도를 재부여해 결과적으로 도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