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감염전문병원 설립·노후 산단 SOC 스마트화 등 인천 관련 현안 추진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의 대표 현안인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산업단지 대개조 등에 대한 추진 의사를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10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대통령 취임 3주년 특별연설’을 통해 “감염병 전문병원과 국립 감염병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보건의료 체계와 감염병 대응 역량을 획기적으로 강화해 보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감염병 전문병원은 최근 코로나19 확산 이후 인천의 현안으로 자리매김했다. 인천은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 등으로 해외 신종 감염병 유입에 매우 취약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앞서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도 지난 1월 20일 인천공항검역소에서 나왔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016년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용역보고서에서 50개 병상 이상의 감염병 전문병원이 필요한 지역으로 인천을 지정했다가 예산 문제 등을 이유로 제외했다. 이 때문에 관문도시에 걸맞은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이 인천에는 매우 중요한 현안일 수밖에 없다.

이번 문 대통령의 감염병 대응 강화 기조에 따라 다시 인천의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이 청신호가 들어왔다. 외국에서 들어오는 감염병에 대한 전국적 대응을 위해선 인천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문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등 3대 신성장 산업을 더욱 강력히 육성해 미래먹거리를 창출하겠다”며 인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현재 인천은 바이오헬스 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 구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인천은 셀트리온·삼성바이오 등 대기업을 연달아 유치해 단일도시 기준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생산도시로 떠올랐지만, 글로벌 기업과 연계·협력할 수 있는 강소 기업이나 연구기관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인천의 ‘인천바이오헬스밸리’ 구축 사업 추진 등과 발맞출 정부 차원의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정책 등이 시급하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를 극복할 정책으로 인천의 현안이기도 한 ‘산단 대개조’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공단 전체를 스마트화하는 사업을 해나가면 지역 경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큰 도움이 되고 지역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7일 인천을 비롯한 대구와 경북, 광주와 전남을 산단 대개조지역으로 지정했다. 인천은 남동산단(거점산단)과 주안·부평산단·송도지식정보단지 등 연계산단의 잠재력을 활용해 고부가 산업으로 전환하는 특화전략을 세워두고 있다.

이 밖에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로 산업·고용 위기가 닥친 인천 중구 등에 대한 산업위기지역(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고용위기지역 지정·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인천에서 고용위기지역 신청이 이뤄진 곳은 인천 중구다. 중구는 지난 4월 23일 고용노동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중구에 있는 인천공항은 2001년 개항 이래 최저의 여객수를 기록하면서 항공사 및 상주업체들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인천항 역시 인천항만공사(IPA)의 여객담당 부서 직원들이 유급휴가에 들어가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대통령의 특별 연설에 감염병 전문병원 등 현안이 여럿 담겨 있는데, 이를 근거로 정부에 정책 결정 및 예산 지원을 건의하겠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이들이 현안 해결을 위한 사업들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