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선별, 의사 아니라도 판단 가능" 아주대병원 교수팀 분류시스템 개발

▲ 신경과 홍지만, 응급의학과 이성은 교수
▲ 신경과 홍지만, 응급의학과 이성은 교수

뇌졸중 의심 증상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눈이 한쪽으로 쏠리는 안구편위, 걸을 수 없는 편마비, 언어장애 중 한가지라도 해당한다면 바로 119로 신고하고, 바로 막힌 뇌혈관을 뚫는 응급 혈관재개통술이 가능한 큰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는 것이다.

12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아주대병원 신경과 홍지만ㆍ응급의학과 이성은 교수팀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하고, 누구나 쉽고 빠르게 뇌졸중을 선별하도록 하는 분류 시스템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4년간 뇌졸중 의심 증상으로 아주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총 1천599명의 환자의 ▲임상정보(Clinical Information) ▲생체징후(Vitial Signs, 혈압·맥박·체온·호흡수) ▲초기 혈액검사 소견(Initial Labs)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1ㆍ2ㆍ3단계로 뇌졸중 아형을 분류하는 선별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선별시스템은 1ㆍ2ㆍ3단계로, 1단계는 뇌졸중인지 아닌지, 2단계는 뇌졸중이 맞는다면 출혈성인지 허혈성인지, 3단계는 허혈성에서 급하게 혈관재개통술이 필요한 급성대형동맥폐색인지를 단계별로 분류한다.

1단계는▲연령대가 젊고(40대 이하) ▲뇌졸중 위험인자(심장질환, 발작 혹은 정신과적 병력, 혈당 등)가 없고 ▲편마비가 없고 ▲초기 혈압이 낮은 경우다. 이 경우 뇌졸중이 의심됐지만, 실제 뇌졸중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2단계는 ▲의식저하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60세 미만) ▲높은 초기 혈압 ▲뇌졸중 위험인자(심장질환, 당뇨 등)가 적은 경우로, 이 경우 출혈성(뇌출혈)일 가능성이 컸다.

3단계는 ▲안구편위(눈이 좌-우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 ▲걸을 수 없는 편마비 ▲언어장애가 동반된 경우다. 신속히 응급혈관재개통술을 통해 막힌 뇌혈관을 뚫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3단계에서 응급 혈전제거술이 필요한 급성대형동맥폐색일 가능성이 눈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으면 약 21.7배, 팔 마비가 있을시 약 2.2배, 언어장애가 있을시 2.4배 높아졌다.

본 연구의 1저자인 이성은 교수는 “중증 뇌졸중은 본인이 의사표현을 하거나 거동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의사가 판단하기 전에 바로 옆에 있는 누군가의 신속한 선별이 필요한 만큼 이에 대한 범국민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웃·손·발·시선’이라는 한글표어를 기억해야 한다. ‘이~ 하고 웃어 보세요’ ‘양손을 들어 보세요.’ ‘발음이나 언어장애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시선이 한쪽으로 쏠리는지 확인하세요.’로 중증 뇌졸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4월 15일 SCI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임상 정보, 활력 징후 및 초기 실험실을 통한 단계별 뇌졸중 인식 : 전자 건강 기록 기반 관찰 코호트 연구 (Stepwise stroke recognition through clinical information, vital signs, and initial labs (CIVIL): Electronic health record-based observational cohort study)’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