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7월 역대급 고위직 인사를 앞두고 공직계가 술렁이고 있다.
이번 인사는 부이사관(3급) 이상만 9자리이다.
12일 시에 따르면 오는 7월 20일자로 2020년 하반기 정기 인사를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6월 중순께 인사위원회를 열고 승진 의결을 한다.
오는 6월말 공로연수 대상 중 3급 이상은 행정 직렬 유지훈 부평구 부구청장(2급) 1명, 3급 7명 등 총 8명이다. 기술직 1명은 지난 4월에 명예퇴직을 했다. 이에 따라 시는 실·국장 등 3급 이상 고위직 9명을 선발한다.
승진 대상은 행정안전부의 지방공무원 인사분야 통합지침 등에 따라 서기관(4급) 승진 후 승진소요 최저연수 3년이 지나야 한다. 시는 곧 승진임용배수 범위에 맞춰 32명의 승진후보자 명부를 작성한다. 경쟁률은 3.5대1이다. 승진후보자들은 면접을 통해 자신의 성과(2분)와 비전(3분)을 발표한다.
이 같은 대규모 인사를 앞두고 시 내부에선 각종 설(說)이 나오고 있다. 우선 기술직 발탁이다. 시청 내 3급 승진소요 최저연수를 채운 행정직 4급 인사가 7명에 불과한데다, 이들 중 일부는 탈락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3급 행정직 자리에 기술직을 다수 승진 배치 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또 공로연수 대상 8명 중 일부 인사의 공로연수 시기를 6개월 뒤인 12월말로 늦춘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6개월 뒤 ‘특정 인사를 승진시키려 한다’는 등의 논란은 물론 자칫 후속 인사가 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그동안 승진소요 최저연수가 부족한 4급을 3급 직무대리로 발탁 승진시키던 것을 행안부가 금지한 만큼, 이 같은 공로연수 연기는 ‘꼼수’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또 부단체장으로 나가 있는 4급 인사를 승진시켜 다시 본청으로 불러들인다는 설도 있다. 다만 통상 4급 부단체장은 3급 승진자로 간주해 정년을 앞둔 인사가 나가는 만큼, 자칫 인사의 관행이 깨지는 문제가 있다.
이 밖에 송도6·8공구 개발 사업에 대한 금품 의혹을 제기했다가 3급으로 강등당한 정대유 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차장도 변수다. 진행 중인 강등처분취소 소송 항소심 결과에 따라 7월께 정 전 차장이 복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한태일 시민안전본부장도 자리를 옮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아직 하반기 정기 인사와 관련 방침이 정해지지 않았다”며 “민선 7기의 기조대로 성과 위주의 인사를 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