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이 화두 날린 ‘디지털 뉴딜’ 본격 준비

데이터 융합단지, 리쇼어링 대비 등 주목

▲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뉴딜 경기연구원 도표
▲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뉴딜 경기연구원 도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급속히 진전될 ‘디지털 경제’를 대비하자고 주장한(경기일보 4월 13일자 2면) 가운데 경기도가 ‘디지털 뉴딜’을 본격적으로 준비한다.

경기도는 가용 가능한 재원을 디지털 부문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계획으로, 초기 아이디어로 데이터 융합단지 조성ㆍ유턴 기업 대비 등이 논의돼 향후 구체적 복안에 관심이 집중된다.

경기도는 14일 도청에서 ‘경기도 디지털 뉴딜 사업 추진 회의’를 개최했다. 이 같은 도의 ‘디지털 뉴딜 준비’는 이재명 지사의 메시지,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3주년 기자회견에서 디지털 뉴딜 구상과 연관됐다.

앞서 이 지사는 지난달 도청 확대간부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제일 핵심은 아마도 디지털화의 급격한 진전이 아니겠느냐. 비대면, 비접촉, 디지털화 그리고 경제도 지금까지의 흐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하면서 디지털 경제 대응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도 최근 취임 3주년 기자회견에서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는 미래 선점투자”라며 인공지능ㆍ5Gㆍ데이터 부문을 강조했다.

이에 이날 회의에서는 김규식 도 경제기획관 주재로 관련 실ㆍ국이 모여 디지털 뉴딜 관련 사업 및 정책을 논의했다. 특히 경기연구원과 김홍진 Work Innovation Lab(IT 전문 자문위원) 대표 등을 초청해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김군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발표 자료를 보면 디지털 뉴딜 주요 과제로 데이터 융합단지 구축 및 스마트도시 조성, 글로벌 거점화 위한 체계적 투자 유치 전략 마련 등을 제시했다.

우선 감염병 사태로 비대면ㆍ온라인 비즈니스 등 디지털 경제가 촉진된 점을 주목했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디지털 시대 경쟁력이 데이터 확보ㆍ활용에 있다고 판단, 도내 데이터 융합단지 조성(데이터 관련 연구소ㆍ기업 유치)을 주장했다. 연계 방안으로 5G, 사물인터넷(IoT) 등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도시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제조업 리쇼어링(해외로 나간 자국기업을 각종 세제 혜택ㆍ규제 완화 등을 통해 자국으로 불러들이는 정책)’도 관전 포인트로 언급했다. ‘마스크 대란’을 비롯한 국가적 혼란을 겪으며 단순 효율보다 공급 안정성이 우선 가치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K 방역’이라는 명칭처럼 한국의 위상이 올라가며, 국제 신뢰도를 바탕으로 한 글로벌 거점화 전략도 요구된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맥락을 고려, ‘유턴 기업 제도 및 외국인 투자지역 지정 제도’를 개선(일정 산업에 대해 수도권 역차별 완화)하자고 조언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