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들은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코로나19 지원책 중 ‘대출ㆍ보증지원 확대’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17일 ‘코로나19 관련 소상공인 정책과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8일까지 도소매ㆍ음식ㆍ숙박ㆍ기타 서비스업 소상공인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응답 소상공인의 40%는 정부의 코로나19 지원 중 소상공인에게 가장 효과적인 지원책으로 ‘대출ㆍ보증지원 확대’(40.0%)를 꼽았다. 이어 ▲임대료 인하 시 세액공제(23.2%) ▲신용ㆍ체크카드 소득공제율 확대(14.4%) ▲고용유지지원금 확대(12.4%) ▲간이과세자 범위 확대(8.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금융지원을 활용한 소상공인(전체의 18.4%)의 92.3%는 정부의 금융지원이 사업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고, 특히 종업원이 없는 ‘1인 소상공인’의 경우 응답자 전원(100%)이 도움을 받았다고 답변했다.
정부의 지원 사업을 활용하지 않은 소상공인은 61.4%로, 미활용 사유로는 ▲지원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함(44.3%) ▲신청방법 및 서류작성이 까다로움(24.8%) 등의 순으로 조사돼 소상공인 지원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상황 변화에 맞는 적절한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중앙회도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캠페인 추진 등 경제심리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