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취학 아동 ‘누리과정’ 도입 여파
같은 교육·원비 저렴… 어린이집 선호
인천지역 유아의 절반이 차별성 부재 등을 이유로 유치원을 외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인천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2019년 유치원 진학 대상인 3~5세 아동은 7만6천919명이다.
이 중 유치원에 들어간 아동은 3만9천344명으로, 취원율은 51.1%에 불과하다.
특히 10개 군·구에서 유치원 진학 비중이 가장 낮은 옹진군은 취원율이 31.7%이다.
취원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구(67.8%)이며, 남동구(62.6%), 중구(60.7%)를 제외한 나머지 자치구는 40~50% 수준에 그쳤다.
유치원을 찾지 않는 유아가 늘면서 문을 닫은 유치원도 늘어났다.
2017년 430곳이던 유치원은 2018년 423곳으로 줄었고, 2019년에는 20곳이 한꺼번에 문을 닫으면서 403곳으로 대폭 감소했다. 사라진 유치원은 모두 정부기관의 지원에서 소외받는 사립유치원이다.
이처럼 사립유치원의 어려움은 점점 커져가지만, 학부모들은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을 선호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2013년 정부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공통교육과정(누리과정)을 도입하면서 유치원만의 특색있는 교육과정이 사라진 점을 이유로 든다.
4살 아들을 키우는 최유경씨(33·여)는 “어차피 같은 내용을 배우는 상황에서 유치원을 보내려면 어린이집보다 배 가까이 비싼 비용을 내야한다”며 “하원시간도 유치원은 오후 2시지만, 어린이집은 최대 오후 7시까지 연장할 수 있는데 맞벌이 입장에서 유치원을 택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했다.
시교육청은 유치원의 차별성을 키울 수 있는 방법으로 국공립유치원 강화 카드를 꼽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를 개선하고 국공립유치원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며 “현재 단설유치원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통원차량 지원을 전체 국공립유치원으로 확대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하려 노력하는 중”이라고 했다.
반면 국·공립유치원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지역 내 한 교육계 관계자는 “전체를 동시에 국공립으로 전환할 수 없다면 오히려 학부모에게 선택권을 줄 수 있도록 사립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늘리고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공립유치원이 공공성 교육을 강화한다면, 사립은 유아의 성향이나 자질을 분석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함께 발전해야 한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