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동구가 송현·송림동 일대 소공인 공동기반시설 및 집적지구 지정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25일 시와 구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에 소공인 공동기반시설 구축 및 집적지구 지정을 요청했다. 소공인 공동기반시설은 소공인의 조직화와 협업을 유도하고 집적지 활성화 및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동기반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중기부는 송현·송림동에 대한 1차 사전평가와 2차 현장평가를 했다. 3차 최종평가가 남은 상태지만 중기부는 최근 추가로 집적지구 공모를 받고 있다. 추가 공모는 앞서 1차 공모에서 사업을 신청한 곳이 적었기 때문으로 전해진다. 이에 중기부는 오는 5월 말에 발표하려했던 것을 6월 초로 미룬 상태다.
시와 구는 국비 15억원과 시비 15억원을 들여 소공인 공동기반시설 집적지구에 있는 소공인간 공동생산, 공동연구가 가능한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소공인 전용 교육장, 공용장비 등 공용장비·운영시설과 집적지구 소공인들의 생산제품을 전시, 판매할 수 있는 공동전시·판매장도 만들 예정이다.
소공인 공동기반시설 및 집적지구는 전국에서 23곳이 운영 중이지만 인천에는 1곳도 없다. 서울에는 5곳, 대구 2곳, 부산과 광주가 각각 1곳의 소공인 공동기반시설이 있다. 또 경기도는 8곳, 강원도 3곳, 충청북도와 전라북도, 경상남도가 각각 1곳의 공동기반시설을 운영 중이다. 시는 인천에 2만129개의 소공인 업체가 있어 소공인 공동기반시설 설치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송현·송림동은 인천에서도 소상공인이 모여있어 소공인 공동기반시설의 최적지”라며 “중기부가 송현·송림동을 공동기반시설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건의하겠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소공인 공동기반시설은 일정지역에 제조업 사업을 하는 업체가 50곳 넘어야 지정받을 수 있다”며 “송현·송림동은 이를 충족하는 곳이기에 앞서 중기부에 신청 서류를 접수했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