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증상 학생을 관리하기 위해 전국 초ㆍ중ㆍ고교에 ‘일시적 관찰실’이 설치됐지만 구체적인 매뉴얼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경기일보 25일자 1면)되는 가운데 관찰실 공간마저 학교마다 제각각이라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25일 군포의 A 중학교. 이곳은 아직 학생들의 등교가 시작되지 않은 만큼 남는 교실 하나를 활용해 일시적 관찰실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달 27일 중3 등교를 시작으로 다음 달 3일 중2, 8일 중1이 등교하면 관찰실이 지금 이 자리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1학급 2교실’ 등 분반 수업이 이뤄질 수 있고, 그때 유휴 교실이 불가피하게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고3 학생의 등교가 시작된 고등학교 사정도 비슷하다.
안성의 B 고등학교는 현재 소강당을 관찰실로 사용 중이다. 시간대별로 전담관리인을 배치해 수업이 없는 교사 등이 이곳을 찾곤 있지만 전교생의 등교가 이뤄졌을 때 관찰실을 현 위치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과밀학급이 많아 교실도 모자라는 학교는 천막으로 일시적 관찰실을 마련, 운영하고 곳도 있다. 실제 수원의 C 고교는 건물 출입구 옆에 파란 천막을 치고 관찰실을 운영하는곳도 있다. 교육부 지침상 관찰실은 ‘학내 별도공간’에 있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열악하게나마 이곳에 관찰실을 꾸렸다. 천막 안에 미처 열화상 카메라 등 방역 물품을 두지 못한 상태라 담임교사나 보건교사, 교감ㆍ교장 등이 비접촉 체온계를 상시 소지하고 다니며 관리하는 실정이다.
도내 한 초등학교 교사는 “관찰실은 학교 안 선별진료소와 마찬가지라 학생들과 마냥 가까운 곳에 마련할 수가 없다”며 “여러 학교가 보건실 옆, 도서관, 학교 출입문 근처 등에 관찰실을 배치하고 있는데 모순적이게도 ‘학생이 아직 안 나오고 있으니까’ 가능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긴급상황 발생 시 119가 오가기 좋은 교문 앞 등 특정 장소가 정해져야 대응도 빠를 것”이라며 “지금은 임시방편에 불과해 불안감이 크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교육 당국은 지역교육청 등을 통해 학교 현장의 의견을 두루 청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들이 없을 때 준비한 상황과 막상 학생들이 학교에 나와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어려움에는 차이가 있다”며 “학생들이 등교할 경우 생길 수 있는 여러 문제점과 어려움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학교가 적극적으로 교육부나 교육청을 통해 (해결방법을) 제안해달라”고 밝혔다.
강현숙ㆍ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