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목소리 작아질까 우려
인천 계양테크노밸리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의 인천도시공사 지분율이 20%로 정해지면서 사업 추진 과정에 지역의 목소리를 제대로 내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인천시와 도시공사에 따르면 3기 신도시인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은 도시공사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각각 20%, 80%의 지분율로 공동 추진한다.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은 계양구 귤현·동양·박촌·병방·상야동 일대 334만9천214㎡에 1만7천여가구 규모의 공동주택과 첨단산업단지를 만드는 사업이다.
당초 시 내부에서는 도시공사가 LH와 동등한 지분율로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했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인천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려면 도시공사의 지분율이 최소한 LH와 같아야 하기 때문이다. 검단신도시도 LH와 도시공사의 지분율은 반반이다.
다만, 도시공사는 검암역세권 조성사업, 검단신도시 조성사업 등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50%의 지분율로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에 참여하기를 어려워했다. 지분율을 높이는 만큼 행정안전부의 ‘지방공기업 예산편성기준’ 등에 따른 부채비율 기준(250% 이내)을 지키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이 때문에 도시공사는 당초 30%의 지분율을 가진 공동사업시행자로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에 참여하려 했다. 또 도시공사는 2019년 말부터 LH와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에 대한 협의를 하면서 30%의 지분율로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반복적으로 전달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추가적인 위기 관리 필요성이 생긴 도시공사는 최종적으로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의 지분율을 20%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에서 시의 주도권 역시 사라진 상태다. 또 전체 사업비의 20% 이상을 교통대책에 투자할 수 있는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에서 시의 입장이 배제당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낳고 있다.
이에 대해 도시공사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를 감안해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의 지분율을 낮출 수밖에 없었다”며 “이러한 부분에 대해 인천시의회에도 보고를 마친 상태”라고 했다. 이어 “계양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천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시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